기술 정책 A quick guide to the most important AI law you’ve never heard of “AI 피해 막자”…AI 규제 칼 빼든 EU 유럽연합(EU)이 인공지능(AI) 관련 피해 방지를 위한 신규 입법을 추진하고 있다.
기술 정책 Google is failing to enforce its own ban on ads for stalkerware 구글, ‘스토커웨어’ 광고 제한 약속 어겼다 구글의 발표와는 달리 연인이나 배우자의 문자를 읽거나 위치를 추적할 수 있게 도와준다고 홍보하는 ‘스토킹’ 앱들의 광고가 여전히 구글에서 검색되고 있다.
기술 정책 The US now hosts more child sexual abuse material online than any other country 美 온라인에 넘쳐나는 아동 성착취물, 해결 방법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아동 성착취물 사이트를 서비스하는 곳이 미국이라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전문가들은 새로운 법안이 마련되지 않는 한 문제가 더 심각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기술 정책 The secret police: Inside the app Minnesota police used to collect data on journalists at protests 미네소타 경찰이 앱을 이용해 시위에 참여한 기자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했다 (3부) 미네소타주 순찰대는 ‘인프레피드 리스폰스’라는 앱을 이용해 시위 현장에서 수집한 기자들의 사진과 개인정보를 다른 기관들과 공유했다. 그러나 그 자료들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는 여전히 알 수 없다.
기술 정책 The secret police: After protests around George Floyd’s murder ended, a police system for watching protesters kept going 조지 플로이드 사건 이후 비밀 감시 프로그램 운영한 미네소타 (2부) 지난 기사에 이어 MIT 테크놀로지 리뷰가 정보공개요청으로 획득한 문건에 따르면 미네소타주에서 특정 시위에 대응하려고 만든 치안 유지 작전이 시위가 종료된 이후에도 계속 유지되고 있었다.
기술 정책 The secret police: Cops built a shadowy surveillance machine in Minnesota after George Floyd’s murder 조지 플로이드 사건 이후 비밀 감시 프로그램 운영한 미네소타 2020년 미국 미네소타에서 경찰의 과잉 진압으로 시민이 사망하면서 격렬한 시위가 이어졌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조사를 통해 미네소타의 치안 당국이 시위자들을 자세히 관찰하고 감시할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기술 정책 True innovation requires big tech, academia and government to work together 진정한 혁신에 이르는 길 국가적인 규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학협력과 더불어 정부의 지원이 필수적이다.
기술 정책 A new map of NYC’s cameras shows more surveillance in Black and brown neighborhoods 감시도 인종차별…뉴욕시 감시 카메라 설치 지역 알아봤더니 국제앰네스티에서 얼굴인식과 관련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보고서에서는 뉴욕시에 설치된 2만 5,500대의 카메라 위치를 정리해서 지도로 제작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백인들이 많은 지역보다 유색인종이 많은 지역에 감시 카메라가 더 많은 설치되어 있었고, 이러한 지역에서 경찰들의 ‘불심검문’도 더 잦았다.
기술 정책 (인터뷰) “사람을 구하고, 사람을 살리는 기술을 만들겠다” 112나 119에 긴급 구조 전화를 한 사람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생기는 불상사를 해결해 더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힘쓰고 있는 문희찬 한양대학교 공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를 만났다.
기술 정책 Why the balance of power in tech is shifting toward workers 침묵 깬 노동자들…기술업계 ‘힘의 균형’을 흔든다 최근 미국에서는 기술 업계 노동자들의 노동조합이 많이 생겨나고 있다. 이들이 조직적으로 거대 기술 기업들에 변화를 촉구하면서 점점 더 직원들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전 세계 여러 곳에서 많은 이들이 노력한 결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