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s just got a big boost. We’re going to need a lot more chargers.

본격적인 전기차 시대, 전기차 충전기 확보를 위한 숙제

지금으로부터 9년 뒤인 2032년에는 미국에서 판매되는 신차 중 전기차의 비중이 3분의 2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이 많은 전기차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충전기 수백만 대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미국 정부는 앞으로 몇 년 안에 전기차를 본격 상용화하겠다는 방침을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현재 미국 내 설치된 충전기의 수는 이 모든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역부족이다.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이하 EPA)은 지난 3월, 기업이 신규로 출시하는 차량의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을 제한하는 내용의 기준안을 발표했다. 새로운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차량 제조업체의 신차 판매량 중 전기차의 비율이 2030년까지 최대 60%, 2032년까지 최대 67%에 도달해야 한다. 이 기준은 2027년식 차량 및 그 이후 차량에 적용된다.

오늘날 운송 부문은 미국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분야이다. 새로운 규정은 전기차 및 기타 탄소 배출량이 적은 교통수단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미국 연방 정부의 방침을 배경으로 한다. 2021년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2030년까지 신차 판매량 중 전기차의 비중을 절반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2년 통과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는 신규 전기차에 대한 세금 공제액 명목으로 인당 7,500달러(한화 약 1,006만 원)이 책정되어 있다.

환경보호청장 마이클 리건(Michael Regan)은 새로운 규정을 발표하는 기자 회견에서 “오늘 발표한 조치는 미래형 친환경 차량으로의 지속적인 전환 속도를 높이고 기후 위기 문제에 적극 대응하여 미국 전역의 모든 지역 사회가 더욱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충전 문제

새로 출시될 전기차를 움직이기 위해서는 현재 미국 내에 설치된 충전기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충전기가 필요하다. 현재 미국 전역에 설치된 공용 충전기는 약 13만 개에 불과하며 이 중 급속 충전기는 극히 소수이다. EPA 보도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이후 충전기의 수는 40% 증가했지만, 여전히 충분하지 않으며 10년 안에 수백만 대의 신규 충전기를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

국제에너지기구(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따르면 가용 충전 인프라의 부족은 전기차 채택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 요인이다. 공용 충전기를 사용할 경우 운전자는 더 먼 거리를 이동할 수 있고 중요한 차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2021년 바이든 행정부는 2030년까지 사용 가능한 전기차 충전기를 50만 대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전국 충전망 구축을 위한 지원 자금으로 50억 달러(한화 6조 7,050억 원)를 책정했다. 테슬라, 우버 등 전기차 관련 기업들이 설립한 무공해 운송협회(Zero Emissions Transportation Association)에서 정책 책임자를 맡고 있는 레알라니 곤잘레스(Leilani Gonzalez)는 이메일에서 위의 투자를 통해 “국도를 따라 DC 급속 충전기들이 빠르게 설치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내비쳤다.

이러한 목표가 2030년까지 출시 후 상용화될 모든 전기차를 지원하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보는 분석가들도 있다. S&P 글로벌(S&P Global)의 올해 1월 보고서에 따르면 2030년에 신규 차량 중 전기차의 판매 비중이 최근 발표된 EPA 규정에서 예측한 증가율보다 낮은 40%만 돼도 필요한 공용 충전기 대수는 200만 대가 넘는다. 이 수치에는 특정 작업장 내 직원용으로 설치된 충전기처럼 특정 전기차만 사용할 수 있는 충전기도 포함된다.

에너지 이노베이션(Energy Innovation)의 모델링 및 분석 부문 선임 이사인 로비 오르비스(Robbie Orvis)는 “충전망 구축을 위해 주 정부 및 연방 정부의 적극적인 투자가 필요하다. 아직 갈 길이 멀다”고 이야기한다.

미국 신재생 에너지 연구소(National Renewable Energy Laboratory)의 연구에 따르면 전기차 충전의 70~80%는 가정에서 이루어진다. 따라서 급증하는 전기차를 지원하기 위해서는 공용 충전기 외에도 수백만 대의 가정용 충전기를 새로 설치해야 한다. 국제 청정 교통 위원회(International Council on Clean Transportation, 이하 ICCT)는 2021년 보고서에서 2030년경에 신규 차량 판매량 중 전기차 비중이 3분의 1을 넘을 경우 총 1,700만 대의 가정용 충전기가 필요할 것으로 예측했다.

이를 위해 투입해야 하는 비용은 적지 않다. ICCT 보고서에 따르면 2021년에서 2030년 사이에 작업장용 충전기와 공용 충전기의 수요를 충당하는 데만 총 280억 달러(한화 약 37조 5,480억 원)를 든다.

전기차 소유자는 가정용 충전기 설치 비용을 부담하게 되겠지만 여기에는 추가 장벽이 있을 수 있다. 대부분의 가정에서는 전기차 충전 장비를 갖추기 위해 약간의 전기 공사를 시행해야 하며 이 과정에서 개조 공사까지 필요한 경우 큰 비용이 들 수 있다. 에너지 이노베이션의 모델링 분석가인 댄 오브라이언(Dan O’Brien)은 “일반적인 건물 구조는 충전에 적합하지 않다”고 설명한다.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전기 기술자가 부족하다는 점도 심각한 문제다. 충전기 설치에는 막대한 작업이 수반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충전 인프라 구축 계획을 구상하고 있는 것은 정부만이 아니다. 월마트와 같은 기업들도 전기차로의 전환 추세에 부응하기 위한 움직임을 서두르고 있으며 월마트는 향후 몇 년 안에 수천 개의 상점 주차장에 충전기를 추가 설치할 예정이다.

거세지는 전기차 열풍

전기차 주행을 위해 더 많은 충전기를 설치해야 한다는 점은 분명하다. 유일하게 해결해야 할 과제는 충전이 필요한 전기차의 수량과 기대 충전 시간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다. 새로운 EPA 지침은 기존의 다른 연방 정책 및 주 정책과 마찬가지로 전기차 채택률이 점차 상승할 것으로 예상한다.

지난해 캘리포니아주는 제조업체가 전기차, 충전형 하이브리드 전기차(plug-in hybrid) 및 연료 전지 차량을 포함하여 저공해 차량의 판매 비율을 높이는 것을 의무화하는 내용의 새로운 차량 기준을 발표했다. 이 규정은 2035년 이후 캘리포니아주에서 가스 차량의 신규 판매를 사실상 금지하며 미국 전역의 다른 주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캘리포니아주의 기준 발표 이후 17개 주에서 캘리포니아주 차량 기준에 서명했으며 그중 여러 주가 새로운 규정을 채택할 계획을 이미 발표했다.

미국 존스 홉킨스 대학교(Johns Hopkins University)에서 에너지, 자원 및 환경 분야 조교수로 근무하고 있는 조나스 남(Jonas Nahm)은 이메일을 통해 EPA의 발표가 근본적으로 연방정부의 규정을 캘리포니아주의 새로운 규칙과 통일시키는 조치라고 평가했다.

EPA의 발표는 2030년대 초 IRA에 따른 세제 공제 혜택이 만료된 후에도 전기차 판매량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에너지 이노베이션의 모델링 분석에 따르면 IRA의 개인 세제 공제 및 기타 인센티브는 2030년 전기차 예상 판매율을 40% 미만에서 약 60%로 늘릴 것으로 예측됐다. 즉, 이러한 장려 정책은 전기차 판매량을 높여 시행 예정인 EPA 지침을 충족할 것이다. 그러나 오르비스는 일부 전문가들이 해당 정책이 만료될 경우 2030년대 초에 가스 자동차 판매량이 다시 증가할 가능성을 우려한다고 말한다.

새로운 연방 규정과 같은 명령은 미래에 전기차의 입지를 확실히 다지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남은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향후에 제조 방침을 변경하기 어려울 정도로 전기차 생산에 전념해야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기후 목표 달성에 필요한 수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충전, 배터리 기술 및 대중의 수용 측면에서 전기차 분야의 추가적인 노력이 많이 필요하겠지만 새로운 EPA 규정과 기타 정책 변화는 변화의 바람이 불고 있음을 시사한다. 리건 청장은 기자회견에서 “이 규정에는 우리의 미래가 담겨 있다. 소비 수요를 늘리고 시장과 기술을 통해 이를 뒷받침하여 모든 부문이 동일한 목표를 향해 움직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는 앞으로 몇 년 안에 전기차를 본격 상용화하겠다는 방침을 적극 추진하고 있지만 현재 미국 내 설치된 충전기의 수는 이 모든 전기차에 전력을 공급하기에 역부족이다.

미국 환경보호청(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이하 EPA)은 지난 3월, 기업이 신규로 출시하는 차량의 이산화탄소 총배출량을 제한하는 내용의 기준안을 발표했다. 새로운 기준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차량 제조업체의 신차 판매량 중 전기차의 비율이 2030년까지 최대 60%, 2032년까지 최대 67%에 도달해야 한다. 이 기준은 2027년식 차량 및 그 이후 차량에 적용된다.

오늘날 운송 부문은 미국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가장 많은 분야이다. 새로운 규정은 전기차 및 기타 탄소 배출량이 적은 교통수단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는 미국 연방 정부의 방침을 배경으로 한다. 2021년 미국 바이든 대통령은 2030년까지 신차 판매량 중 전기차의 비중을 절반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2022년 통과된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에는 신규 전기차에 대한 세금 공제액 명목으로 인당 7,500달러(한화 약 1,006만 원)이 책정되어 있다.

환경보호청장 마이클 리건(Michael Regan)은 새로운 규정을 발표하는 기자 회견에서 “오늘 발표한 조치는 미래형 친환경 차량으로의 지속적인 전환 속도를 높이고 기후 위기 문제에 적극 대응하여 미국 전역의 모든 지역 사회가 더욱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미리보기 2회1회

MIT Technology Review 구독을 시작하시면 모든 기사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