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에서 범용 AI 에이전트 ‘마누스’가 등장한 이후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경쟁 제품과 모방 제품들이 우후죽순 쏟아지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인터넷 검열과 제약 때문에 이런 에이전트들은 지금까지 중국 내 사용자보다 해외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더 집중하고 있다.
2025년 베이징 이좡 개발구에서 열린 세계 최초의 로봇 하프마라톤은 21대의 인간형 로봇이 실제 인간 마라톤 코스를 완주할 수 있는지를 시험한 실험장이자, 중국의 로봇 기술력과 정책적 야심을 드러낸 대규모 공개 테스트였다. 완주율은 28.6%에 불과했지만, 이는 오히려 기술의 한계와 가능성을 동시에 보여준 의미 있는 시도였으며, 인간과 로봇이 어떻게 공존할 수 있는지를 사회적으로 조명한 상징적 사건으로 기록됐다.
MIT의 김병철 박사 연구팀이 '디퓨전 모델'이라는 생성형 AI 기술을 활용하여 로봇의 형상을 자동 설계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AI가 스스로 창의적인 형상을 만들고 최적화하면서 진화하는 새로운 로봇 설계의 방식을 고안한 것이다. 이 혁신적인 기술은 로봇뿐 아니라 드론, 자동차, 기계 부품, 가구 등 다양한 산업 분야로의 확장이 기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