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The next pandemic is already here. Covid can teach us how to fight it. 다가오는 새로운 팬데믹,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항생제 내성의 위험성은 이미 오래전부터 알려져 왔다. 코로나19 팬데믹을 겪으며 얻은 교훈으로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까?
바이오 Mixing and matching different vaccines seems to work 백신 교차접종, 효과 크다 새로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서로 다른 종류의 백신 교차접종은 강한 면역 반응을 유도할 수 있다. 특정 조합의 교차 접종은 다른 조합보다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 The Delta variant doubles the risk of hospitalization—but the vaccines still work 입원율 2배 높이는 델타 변이, 백신은 여전히 유효 접종을 완료한 경우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기술과 사회 Anti-vaxxers are weaponizing Yelp to punish bars that require vaccine proof 백신 접종 증명 요구했다 별점 테러 당한 식당들 안전하게 영업을 재개하려는 음식점에 가짜 리뷰가 심각한 피해를 주고 있다.
바이오 What makes the Delta covid-19 variant more infectious? 왜 코로나19 델타 변이는 전염성이 더 강할까? 인도에서 처음 발견된 이 변이는 이미 영국 신규 확진자의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다. 이 변이 바이러스가 가진 높은 전염성의 비밀을 밝히기 위한 연구가 이미 진행 중이다.
바이오 Anti-aging drugs are being tested as a way to treat covid 노화 방지약이 코로나19 치료에 도움이 될까? 과학자들은 코로나19 중증과 사망률이 노화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본다. 연구원들은 우리 면역체계를 다시 젊게 되돌리고 우리를 생물학적으로 젊어지게 하는 약이 코로나19 치료에 도움이 될 가능성을 연구하고 있다.
바이오 Why China is still obsessed with disinfecting everything 코로나 차단 목적 맞나…중국이 소독에 집착하는 진짜 이유 이미 오래전부터 전 세계 대부분의 공중보건기관들은 오염된 표면을 통한 코로나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이 거의 없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중국 보건당국은 코로나19의 기원과 위험성에 관한 주장을 통제하기 위해 ‘오염된 표면을 통한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을 이용하고 있다.
바이오 The gene-edited pig heart given to a dying patient was infected with a pig virus 사람에 최초 이식된 돼지 심장, 돼지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었다 올해 초에 유전자 조작 돼지 심장을 이식받았다가 두 달 만에 사망한 환자의 심장이 ‘돼지 바이러스’에 감염됐던 것으로 드러났다. 이 바이러스 감염이 그의 사망에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바이오 Trans men’s eggs have been matured in the lab—and could help them have children 연구실에서 성숙된 트랜스 남성의 난자, 임신의 또 다른 가능성을 열다 수년간의 테스토스테론 치료 후에도 트랜스 남성의 난소로부터 난자 성숙을 가능하게 하는 새로운 기술로 인해 트랜스 남성이 가족을 이룰 새로운 가능성이 열렸다.
바이오 Aging clocks aim to predict how long you’ll live 기대 수명 예측에 도전하는 노화 시계 ‘노화 시계(aging clock)’는 인간의 생물학적 나이를 가늠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과학자들은 이를 이용해 항노화 약물 연구를 하기도 한다. 하지만 노화 시계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바이오 A battle is raging over long covid in children 코로나 후유증 ‘롱코비드’와 싸우는 아이들 전 세계적으로 수백만 명의 아이들이 코로나19에 감염돼 고통을 받고 있는 가운데 이로 인한 후유증이 얼마나 심하고, 오래갈지를 두고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바이오 The creator of the CRISPR babies has been released from a Chinese prison ‘유전자 편집 아기’ 만든 中 과학자 허젠쿠이 출소 지난 2018년 중국에서 ‘크리스퍼(CRISPR)’ 기술로 유전자를 편집한 아이가 탄생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해당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 허젠쿠이가 큰 비난과 함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실험의 대가로 자유를 잃었던 그가 3년 형을 마치고 출소했다.
바이오 The new malaria vaccine might not be perfect, but it will save countless lives 혁신적인 말라리아 백신, 앞으로 수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 지난해 WHO에서 승인받은 말라리아 백신은 기생충 감염병에 대한 백신도 개발이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메시지를 던져주며 희망으로 떠올랐다. 아직은 효과가 뛰어나지 않지만 앞으로 발전을 거듭한다면 더 많은 생명을 구할 수 있을 것이며 다른 기생충 전염병에 대한 백신 개발로도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바이오 It’s been two years since covid-19 became a pandemic 코로나19 팬데믹 2년…하지만 미궁에 빠진 발원지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된 지 2년이 지났지만 대체 이것이 어디서 시작됐는지를 두고 여전히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바이오 How tracking coronavirus variants will prepare us for the next global public health threat 코로나19 변이 추적이 위기 대응에 미치는 영향 코로나19 감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SARS-CoV-2의 유전적 변화를 감시함으로써 새로운 변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대응할 수 있다. 이를 활용해 또 무엇을 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