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Drugs like Ozempic now make up 5% of prescriptions in the US 미국을 강타한 ‘기적의 다이어트약’, 예상 밖 효과까지? 위고비, 마운자로 등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사용량이 계속해서 증가하는 가운데 이 약의 또 다른 용도가 발견되고 있다.
바이오 A woman in the US is the third person to receive a gene-edited pig kidney 이번엔 성공하나…세계 3번째로 유전자 편집 돼지 신장 이식 받은 환자 회복 순조 미국의 50대 여성이 7시간에 걸쳐 유전자 편집 돼지의 신장을 이식받은 후 순조롭게 회복하고 있다. 이번 사례가 의료계의 오랜 난제인 장기 부족 문제를 해결할 열쇠가 될지 주목된다.
바이오 Exosomes are touted as a trendy cure-all. We don’t know if they work. 만병통치약 엑소좀이 대세? 그 효과와 위험성에 대한 진실 세포에서 분비되는 작은 주머니인 ‘엑소좀’이 탈모, 피부 노화, 여드름뿐만 아니라 알츠하이머병과 코로나 후유증인 롱코비드 등 더 심각한 질환의 치료제인 것처럼 홍보되면서 사람들이 수천 달러를 지불하고 있다. 하지만 엑소좀에 정말 그런 효과가 있을까?
바이오 Green Revolution redux 녹색혁명 그 이후, 현대 식물 공학의 진화와 도전 1960년대 시작된 녹색혁명으로 인류의 기아 문제가 완화됐지만 육종의 한계로 수확량을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하지만 최신 유전자 편집 기술은 신품종 작물 개발 속도를 높이고 수확량을 늘려 기후변화에 맞서 인류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 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 Beyond gene-edited babies: the possible paths for tinkering with human evolution 유전자 편집 기술, 인류 진화의 새로운 지평 열까 유전자 편집 기술이 점점 더 진화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 소수의 사람만이 보유하고 있는 유용한 유전자 돌연변이가 주는 혜택을 장래에는 많은 사람이 받게 될지도 모른다. 이런 변화가 인류라는 종의 미래에 과연 어떤 의미를 지닐까?
바이오 How poop could help feed the planet 신기술로 뒤바뀐 운명…귀중한 자원 된 ‘똥과 소변’ 기술의 발달로 똥과 소변 같은 사람과 가축의 배설물이 농업용 비료 같은 자원으로 변신하는 속도가 빨라지고 있다.
바이오 Jobs of the future: Stool bank manager 미래의 직업: 건강한 똥 이식하는 대변은행 관리자FREE 소화기내과 전문의인 니킬 파이 교수는 경구용 대변이식 알약 개발을 통해 세균 감염 치료제의 접근성이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바이오 Who should get a uterus transplant? Experts aren’t sure. 세계 첫 자궁 이식 수술 후 10년, 남겨진 법적·윤리적 과제는 최초의 인간 자궁 이식 수술이 시행된 후 10년이 흘렀다. 그동안 전 세계에서 135건의 이식이 이뤄졌지만 이식 과정에서 나타난 문제와 각종 법적·윤리적 논쟁은 여전히 해결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바이오 These companies are creating food out of thin air 공기로 단백질 만드는 ‘꿈의 식품 공장’ 나오나 전 세계적으로 단백질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미생물을 이용해 공기로부터 단백질을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 뛰어드는 생명공학 스타트업들이 등장하고 있다.
바이오 These are the best ways to measure your body fat “BMI 말고 SAD를 측정하라”…비만인지 궁금한 사람을 위한 조언FREE 등에서 윗배 중심부까지의 직경을 측정하는 시상복부직경(SAD)이 단순히 신장과 체중의 비율로만 비만도를 측정하던 BMI의 한계를 극복할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바이오 Space travel is dangerous. Could genetic testing and gene editing make it safer? 위험한 우주 여행, 유전자 검사와 편집으로 안전해질 수 있을까? 우주비행사처럼 우주에 머물러야 하는 사람은 누구나 유해한 방사선과 미세중력의 영향을 받게 되고 부상을 당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을 보호할 더 나은 방법이 필요하다.
바이오 Maybe you will be able to live past 122 기네스북 최고령 122세, 인간의 평균 기대 수명이 될 수 있을까 과학 기술의 발전, 대중의 관심, 대대적인 투자에 힘입어 전례 없는 호황기를 누리고 있는 장수(長壽) 산업은 인간이 더욱 건강한 생명 연장의 꿈을 실현할 수 있도록 돕고 있다.
바이오 A new smart mask analyzes your breath to monitor your health “발상의 대전환”…호흡 분석해 건강 진단하는 스마트 마스크 개발돼 캘리포니아 공대 연구원들이 호흡에 포함된 바이오마커를 분석하여 천식이나 만성 폐쇄성 폐질환과 같은 질환을 추적 관찰할 수 있는 마스크를 개발했다.
바이오 Tech that measures our brainwaves is 100 years old. How will we be using it 100 years from now? 탄생 100주년 맞은 뇌전도 기술…100년 뒤 우리는 이 기술을 어떻게 사용하고 있을까 앞으로 뇌전도는 질병의 진단과 의식의 징후 발견은 물론, 우리의 생각과 기억과 꿈의 깊숙한 영역을 탐구하는 데도 활용될 것이다.
바이오 This researcher wants to replace your brain, little by little 늙은 뇌 교체로 죽음 막겠다는 제안에 ‘통 큰’ 베팅한 미국 정부 미국 정부가 늙고 손상된 뇌를 새로운 뇌로 '서서히' 교체함으로써 노화와 죽음을 막을 수 있다고 믿는 학자를 새로운 혁신적 연구 프로젝트를 이끌 연구원으로 고용했다.
바이오 Aging hits us in our 40s and 60s. But well-being doesn’t have to fall off a cliff. 극적인 노화는 40대와 60대에 찾아온다 노화로 인해 반드시 삶의 질이 떨어지는 것은 아니다. 또 생활 습관을 바꾸면 노화로 인한 기능 저하를 일부 막을 수 있다.
바이오 Watch a video showing what happens in our brains when we think 우리가 ‘생각’할 때 뇌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생각을 물리적 모습으로 구현한 프로시젼 뉴로사이언스 뇌 전극의 기록을 통해 ‘생각을 물리적으로 구현한 모습’을 눈으로 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바이오 End-of-life decisions are difficult and distressing. Could AI help? 연명치료를 둘러싼 갈등과 고민 AI로 해결할 수 있을까 의사나 가족이 환자를 대신해 내리는 연명치료 중단 결정은 심적으로 매우 큰 고통이 수반된다. 미국 연구원들이 이런 고통을 덜어주고자 연명치료 결정을 도와줄 AI 도구를 개발 중이다. 하지만 이 도구는 윤리적 논란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바이오 Why we need safeguards against genetic discrimination 유전적 차별에 대한 안전장치가 필요한 이유 세상에는 수많은 유전자 데이터가 존재한다. 이를 어떻게 활용하고 보호할지 우리는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바이오 How our genome is like a generative AI model 인간의 게놈과 생성형 AI 모델은 무엇이 닮았나 인간의 게놈이 하는 역할을 좀 더 쉽게 이해시키고자 이를 청사진이나 조리법 등에 비유해 설명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 게놈이 하는 역할을 생성형 AI 모델에 비유해 설명한 흥미로운 연구 논문이 새로 발표됐다.
바이오 IVF alone can’t save us from a looming fertility crisis 저출산율 문제 해결, 체외 수정만이 답이 아니다 전 세계적으로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율을 높이는 데 체외 수정 같은 불임 치료 기술보다 가족 친화적 정책과 성평등이 더 효과적일지 모른다.
바이오 People can move this bionic leg just by thinking about it 생각만으로 움직일 수 있는 생체공학 다리 등장 MIT 연구팀이 생각만으로 제어할 수 있는 의족을 개발했다. 이 의족의 착용자는 이것을 신체의 일부처럼 느끼면서 일반 의족을 착용했을 때보다 더 쉽게 걸을 수 있다.
바이오 How AI video games can help reveal the mysteries of the human mind AI 비디오 게임은 어떻게 인간의 마음을 둘러싼 미스터리를 해결하나 우리가 게임 및 가상 캐릭터와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관찰하는 연구는 사람의 마음과 관련된 미스터리를 푸는 데 도움을 준다. 그리고 AI는 이러한 연구를 한 단계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릴 것으로 기대된다.
바이오 Is this the end of animal testing? 신약 개발 분야서 주목받는 ‘장기칩(organ-on-a-chip)’…동물 실험 시대 끝내나 신약 개발 시 필요한 테스트 등을 위해 장기칩 기술에 의존하는 연구원들이 늘어나고 있다. 장기칩이 그동안 많은 논란을 일으켰던 동물 실험을 대체할 날이 조만간 도래할지 주목된다
바이오 Should social media come with a health warning? 소셜 미디어에도 담배처럼 유해 경고 문구 붙여야 할까? 최근 <뉴욕타임스>에 소셜 미디어에도 담배처럼 건강에 유해하다는 걸 알리는 경고 문구를 부착해야 한다는 미국 공중보건 최고책임자의 기고문이 실렸다. 이 주장에 공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주장의 명확한 근거가 없는 것도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