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ide the little-known group setting the corporate climate agenda

글로벌 대기업이 줄지어 찾는 기후 변화 자문 단체, 잘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 속으로

지속가능성 자문 단체인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BTi)’는 기업들의 기후 행동을 촉구하고 있다는 찬사를 받고 있다. 하지만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세운 감축 목표만으로 기후변화를 원하는 만큼 늦출 수 있을까?

수천 개의 기업들이 탄소배출 저감 계획을 발표하는 가운데, 지속가능성 분야 전문가들로 꾸려진 한 소규모 단체가 기업의 기후 대책 활동에 대한 주요 심사관으로 부상하고 있다.

과학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이하 SBTi)는 기업들이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고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여, 결국 기후변화에 끼치는 영향을 줄일 수 있도록 계획과 일정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단체다.

수십 명의 분석가와 기술 전문가들로 구성된 이 모임은 기업으로부터 수수료를 받고 기업의 탄소배출 감축 목표 설정 및 홍보에 자문을 제공한다.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대비 1.5 ºC 이내로 제한하고자 하는 국제적인 노력에 부합하도록 심도 있고 신속한 대책을 세우는 것이 이들의 역할이다. SBTi는 ‘기후 과학 분야의 최신 지식’을 바탕으로 기업이 탄소배출을 줄이거나 완전히 없앨 수 있도록 실현 가능한 계획을 제시한다.

이와 같은 자문을 작은 규모로 수년간 제공해 온 경험을 바탕으로 SBTi는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SBTi는 지금까지 네슬레, 펩시코, 애플을 포함한 2,600개 이상의 기업에서 탄소 배출량 감축 목표 및 일정을 수립하도록 도왔다. 이 단체는 추가로 2,300개 이상의 기업과 기후 목표를 설정하기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2025년까지 약 1만 개 기업에 자문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각국 정부도 SBTi의 활동에 주목하고 있다. 2022년 11월 미국 백악관은 연방 정부와 계약을 맺는 대형 도급 업체들이 탄소 배출량 감축 계획을 수립한 후 SBTi의 인증을 받도록 하는 방침을 발표했다.

SBTi는 탄소 감축 목표에 있어서 원칙을 우선시하고 민간 부문의 협조를 끌어냈다는 점에서 많은 지지를 받고 있다.

하지만 SBTi의 영향력이 커짐에 따라 이들을 감시하는 눈길과 이들의 역할에 의문을 제기하는 목소리 역시 늘고 있다. 전 세계 대기업들의 탄소배출 목표를 단일 조직이 설정하고 있다는 사실은 이들의 기후 목표가 신뢰할 수 있는지에 대한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현재 많은 연구자는 SBTi의 기업 권고안이 기후변화를 늦출 수 있을 정도로 적극적인지, 모든 기업에 공평하게 적용되고 있는지, 명확한 기준을 제시하고 있는지 의문을 품고 있다.

비판론자들은 SBTi가 목표 설정에 있어 기업에 과도한 재량권을 부여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이들에 따르면 SBTi는 기업들이 일부 근거가 부족한 수단으로 탄소배출 문제에 대처하는 것을 허용할 뿐 아니라, 오랜 역사에 걸쳐 환경 공해를 일으켰던 초대형 기업들과 동일한 잣대를 개발도상국의 신흥 기업들에 적용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일부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기업들의 기여가 SBTi의 방식으로 인해 과대평가될 수 있다고 분석한다. SBTi의 초기 기술 고문이었던 빌 바우(Bill Baue)는 현재 이 단체를 가장 노골적으로 비판하는 인물이다. 그는 이 같은 비판에 대한 SBTi의 대응에서 “진실과 투명성을 맹목적으로 무시하는 양상이 지속적으로 드러났다”고 말한다.

어떤 전문가들은 좀 더 근본적인 문제를 지적한다. 각국 정부가 엄격한 탄소배출 정책 법안을 통과시키지 못하는 와중에, 각 기업이 스스로 원하는 조치만을 취함으로써 기후 변화에 대한 최선의 방침이 시행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민간 부문의 자체 규제를 연구하는 토론토 대학교의 정치학 교수 제시카 그린(Jessica Green)은 “낙관론자들은 ‘자발적인 이니셔티브를 포함한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이것은 틀린 말이다. 기업들은 기후 위기에 대처하기에 그다지 신뢰가 가지 않는 기후 행동을 하면서 서로를 칭찬하고 격려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SBTi의 최고기술책임자(CTO) 알베르토 카릴로 피네다(Alberto Carrillo Pineda)는 그동안 협력했던 기업들이 목표한 수치보다 더 빠르게 배출량을 감축했다고 언급하며 SBTi의 방식을 옹호했다. 

그는 “우리가 시작하기 전에는 누구도 이 일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라면서 “일단 시작하면 계속해서 많은 것을 배워 나가게 된다. 이 분야는 계속해서 진화하고 있다”라고 말한다.

기준 세우기

2015년 체결된 파리 기후협약에 따라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는 지구 평균온도 상승 폭을 2 ºC ‘훨씬 아래’로 유지하고, 가능한 한 1.5 ºC로 제한하기 위해 노력하기로 약속했다. 그러나 그들에게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이나, 누가 그 길을 닦을 것인가에 대한 계획은 없었다.

이에 따라 같은 해 세계자원연구소(World Resources Institute), 세계자연기금(World Wildlife Fund), 탄소공개 프로젝트(Carbon Disclosure Project, 현 CDP), 유엔글로벌콤팩트(UN Global Compact)의 지속가능성 전문가들이 SBTi를 설립했다. 이 협회는 산업 분야, 기업 규모 및 기타 요인에 따라 각 기업의 이산화탄소 배출 감축 목표를 설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다른 여러 기관에서도 이와 유사한 지속가능성 인증제도를 운영하고 있지만, 그중에서도 SBTi는 기후 과학을 바탕으로 기업의 목표를 제시하는 일괄적인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도드라진다. SBTi의 창립 멤버들은 이미 환경 분야에서의 명성이 높았고, 이 단체는 유엔과도 협력하고 있었기 때문에 과학적으로 타당하다고 여겨지는 탄소배출 계획을 수립하려는 기업들은 이들을 선호했다.

아메리칸 대학교(American University) 탄소제거 법률 및 정책 연구소(Institute for Carbon Removal Law and Policy) 소속 연구원이자 탄소시장 전문가인 대니 컬렌워드(Danny Cullenward)는 “이제 민간 부문의 탄소배출 문제를 개선하려는 노력은 모두 ‘SBTi가 무엇을 계획하고 있나?’라는 질문으로 귀결된다”라고 말한다.

SBTi를 주시하는 사람들은 SBTi의 여러 기준들을 긍정적으로 본다. 특히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탄소 상쇄 제도(carbon offset)를 사용하지 않는 점을 높이 평가한다. 탄소 상쇄 제도는 기업이 나무 심기나 산림 복원 등의 방식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제거하거나 이산화탄소 배출을 이미 감축한 기업에 비용을 지급한 후, 그로 인한 기후변화 억제 효과(climate benefit)를 자사 배출량에 감축량으로 반영할 수 있게 하는 제도다. 그러나 많은 연구와 조사에 의하면 이러한 프로그램들은 실제 기후변화 문제의 개선 효과를 과장하는 경향이 많다.

다른 이들은 SBTi가 민간 부문에서 탄소배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도록 더 많은 기업을 설득하는 데 기여했다고 평가한다. SBTi는 SBTi에서 승인한 목표를 둔 기업들이 일반적으로 연간 배출량을 12%씩 줄이고 있다고 말한다. 이는 이 단체에서 요구하는 수치보다 훨씬 높다. 일각에서는 이처럼 기업들이 SBTi의 도움을 받아 탄소 배출량 목표를 설정함으로써 다른 기업들이나 기업 표준을 개발하는 기관과 단체들의 기준이 높아졌다고 말한다.

기준 선택하기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SBTi의 방침은 ‘탄소 예산(carbon budget)’이라는 개념으로부터 출발한다. UN 산하의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는 향후 30년간 각국이 배출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은 5,000억 톤에 불과하며, 이를 지킨다고 하더라도 평균 기온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할 수 있는 확률은 50퍼센트에 불과하다고 평가했다.

SBTi는 이 배출 총량 목표를 각 산업 분야와 기업에 할당하며, 이때 각 기업은 목표를 설정할 때 몇 가지 선택지를 가지게 된다. 3분의 2에 해당하는 기업은 가장 간단한 방식을 선택했는데, 이는 연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축하는 것이다. ‘1.5 ºC 목표’에 부합하기 위해 SBTi는 각 기업이 매년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소한 4.2% 감축하는 계획을 마련하도록 한다. (타이슨푸드(Tyson Foods), 카길(Cargill), 맥도날드와 같은 일부 기업들은 좀 더 느슨한 목표인 평균 기온 2 ºC 상승 시나리오에 기반한 목표를 수립했지만, SBTi는 최근 이러한 계획에 대한 승인을 중단했다.) 

대부분의 경우 민간 부문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여야 하는 법적인 의무가 없다. 하지만 기업들은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투자자, 고객, 환경운동가, 정책 입안자로부터 갈수록 많은 압력을 받고 있다. 이 때문에 기업은 그들이 기후변화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에 대처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고 싶어 한다. SBTi의 승인은 이사회, 제품 마케팅, 투자자 회의 등의 상황에서 이러한 회사의 노력을 부각하는 데 도움이 된다. 

SBTi는 온실가스 프로토콜(Greenhouse Gas Protocol) 기준을 기반으로 기업의 탄소 배출량을 측정하는 방식을 개발했다. 온실가스 프로토콜은 SBTi와 유사한 기업과 비정부 기구 간 협력으로, 이들도 탄소 배출량을 평가하는 기준을 개발하고 기업의 감축 계획을 인증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SBTi는 기업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특정 탄소 배출량 감축 방식을 사용하도록 권고하거나 평가하지 않는다고 강조하지만, 탄소 상쇄 제도의 사용을 금지하는 등의 방식으로 일정한 통제권을 행사하는 것도 사실이다.

특정 분야의 기업들은 덜 엄격한 기준을 선택할 수 있는데, 여기에는 특히 현재의 기술로서는 탄소 배출량을 감축하기 어려운 항공, 시멘트 생산, 알루미늄 제련과 같은 산업이 해당한다. 이러한 경우에 SBTi는 과학 문헌, 시장 데이터 및 산업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해당 산업 및 그 분야의 각 기업에 탄소 배출량 목표를 할당한다.

예를 들어 해운 산업의 경우에는 2050년까지 120억~160억 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할당받았다. SBTi는 이 분야에서 감축 진행에 더 많은 시간을 허용했는데, 이는 암모니아나 수소와 같은 저배출 연료로의 전환을 포함해 이 분야에서 탄소 배출을 저감할 수 있는 기술을 상용화하는 데 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SBTi는 또한 2050년까지 장기간에 걸쳐 기업의 탄소중립(net-zero)을 이루는 목표도 수립했다. 이에 따르면 기업들은 기업이 대기로부터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을 만큼의 온실가스만 배출하게 된다. 콜게이트 팜올리브(Colgate Palmolive), 엣시(Etsy), H&M을 포함하여 이미 200개가 넘는 기업들이 이러한 목표를 인증받았다.

2022년에 SBTi는 1,000개 이상의 기업이 설정한 목표를 승인했다. 지금 승인을 신청하는 기업은 최대 6개월까지 기다려야 한다. 미국 농업무역정책연구소(Institute for Agriculture and Trade Policy, IATP)의 정책분석가인 스티브 수판(Steve Suppan)은 SBTi 검증팀의 인력이 2022년까지 11명에 불과했고 2023년에도 겨우 15명으로 크게 부족하다며 이 문제가 ‘SBTi가 직면한 가장 큰 문제점’이라고 말한다.

SBTi는 기업들이 최소 5년 주기로 목표를 검토하고, 목표에 중대한 변화가 있다면 SBTi와 협력하여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도록 요구한다. 또한 이들은 기업들의 목표가 제대로 달성되고 있는지를 모니터링하고 평가하는 방법도 준비하고 있다.

미묘한 상황

한정된 탄소 예산을 다양한 기업과 산업 분야, 지역에 걸쳐 할당하는 방식은 우리가 미래 경제를 어떤 모습으로 그리는지, 또 기후 행동에 대한 책임을 어떻게 공정하게 배분하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SBTi 기술 자문 위원회의 초기 구성원인 마크 맥엘로이(Mark McElroy) 지속가능기구센터(Center for Sustainable Organizations) 소장은 “이러한 측정 기준과 지표는 과학을 떠나 가치, 윤리, 도덕의 영역으로 우리를 이끈다”라고 말한다.

예를 들어 일부 비평가들은 SBTi의 방식이 현재 지구온난화 사태에 역사적으로 책임이 있는 선진국과 달리 탄소배출 감축 조치를 부당하다고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개발도상국의 입장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는다고 주장한다. 이미 수십 년 동안 환경 오염을 일으키며 산업 기반을 확립해 온 선진국 출신 기업들을 경영 방식을 조정할 여력이 부족한 개도국의 신흥 기업들과 동일선상에서 평가하는 점이 우려스럽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과학자들은 SBTi의 방식이 앞서 1992년 유엔 기후변화협약 채택 당시 제정된 ‘선진국이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데 더 큰 책임을 져야 한다’는 원칙을 뒷받침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맥엘로이는 선진국과 개도국 간의 형평성 문제를 민간 부문 탄소 배출 목표 설정에 반영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맥엘로이의 방식은 매년 목표를 재평가하여 기업들이 각자 소속된 산업 분야의 누적 배출 예산을 벗어나지 않도록 더욱 노력하게 만든다.

덴마크 공과대학교(Technical University of Denmark)의 안데르스 비에른(Anders Bjørn) 박사후 연구원은 2021년 연구에서 SBTi의 목표 설정 방법이 너무 느슨한 탓에 기업들의 부문별 총배출량이 1.5 ºC 목표에 따라 허용되는 수준을 넘어갈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그는 여러 접근 방식의 정확도를 시험한 결과, SBTi가 사용하지 않는 맥엘로이의 방식 아래에서 기업들이 1.5 ºC 목표에 부합하도록 하는 데 가장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발견했다.)

비에른의 연구는 과학자들 사이에 또 다른 화두를 가져왔다. 이전에 탄소 상쇄 제도와 관련한 논란이 있었던 것처럼, SBTi가 도입한 재생에너지 크레딧 제도(renewable energy credit)도 성과를 부풀릴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 제도에 의하면 기업들은 저탄소 에너지 프로젝트에 지불한 비용을 자사의 탄소배출 감축량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그러나 풍력 및 태양광 발전소와 같은 재생에너지의 가격이 갈수록 저렴해지고, 정부에서도 재생에너지에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이를 개발함으로써 인정받는 감축량을 정당화하기는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컬렌워드는 “SBTi는 매우 섬세하고도 미묘한 상황에 처해 있다”라고 말한다. 그는 “특정한 적용 사례에서 상쇄제(offsetting)는 매우 잘 적용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최근 독일의 비영리단체인 신기후연구소(NewClimate Institute)와 벨기에의 카본마켓워치(Carbon Market Watch)에서 수행한 연구에서도 SBTi가 특정 기업 부문들에 자체 운영 또는 공급망 내에서 상쇄 제도와 유사한 ‘인세팅(insetting)’이라고 부르는 방식을 허용한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또한 이전에 수행한 연구에서 이 두 단체는 기업들이 SBTi의 정책을 활용해 특히 배출량이 많았던 해를 기점으로 골라 이후 연간 감축량 목표를 더 쉽게 달성하는 편법을 썼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또한 SBTi가 평가 대상인 기업들로부터 수익을 올린다는 점도 잠재적 이해 상충 측면에서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SBTi는 기업들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그에 대한 비용을 청구하는데, 이는 기업의 규모와 기후 목표의 복잡성에 따라 1,000달러(약 130만 원)에서 1만 4,500달러(약 1,880만 원)까지 다양하다. 또한 SBTi는 2021년에 베이조스 지구기금(Bezos Earth Fund), 라우데스 재단(Laudes Foundation), 이케아 재단으로부터 3,600만 달러(약 467억 6천만 원)를 조달하기도 했다. (이케아는 단기 목표에 대한 SBTi의 승인을 받았다.)

또 다른 문제는 탄소 제거와 관련이 있다. SBTi의 탄소중립 계획에 따르면 기업들은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영구적으로 제거’함으로써 자사 배출량의 최대 10%를 상쇄할 수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50년까지 200억~400억 톤의 배출량이 상쇄될 것으로 관측된다.

하지만 SBTi는 어떻게 탄소가 제거되어야 하는지를 명확히 밝히지 않았다. 대기 중 탄소 제거 기술 중 대다수는 탄소가 다시 대기 중으로 배출될 위험성을 가지고 있으며, 저렴하고 상용화가 가능하며 장기적으로 신뢰할 수 있는 탄소 제거 기술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이러한 우려 속에서 여러 연구 단체와 기업들은 SBTi에 ‘영구’라는 개념의 의미를 최소 천 년 이상 지속되는 것으로 정의하고, 기업들에 해당 기술 개발에 투자하도록 권장하기를 요청했다.

덧붙여 SBTi의 방식에는 최소 두 가지 뚜렷한 결점이 존재한다. 지구 평균온도 상승폭을 1.5 ºC로 제한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 모든 기업이 매년 비슷한 수준으로 배출량을 줄여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목표를 승인받아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한 기업들의 이산화탄소(온난화를 일으키는 기타 온실가스를 포함하여) 배출량은 30억 톤에 불과했다. 한편 전 세계는 에너지 사용으로 인해 연간 41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다. 특히 SBTi는 현재 화석 연료 부문 기업에 대한 목표를 승인하지 않고 있는데, 실제로 인간이 발생시키는 배출량은 압도적으로 화석 연료에 치우쳐 있다. 따라서 다른 부문에서 배출량을 크게 줄이더라도, 석유 및 가스 회사의 운영 방식을 근본적으로 개선하지 않으면 기후 변화를 완화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문제 해결하기

여러 비판에 대응하여 SBTi는 조직 구조를 개편하고 있다고 말한다. 이들은 불만사항을 관리하기 위해 준법감시 책임자를 고용하고 더 많은 기술적 결정을 검토하고 승인하기 위해 ‘기술 위원회’를 구성했다.

하지만 SBTi는 맥엘로이 식을 포함한 다른 접근 방식은 변동이 큰 불안정한 경제 지표에 의존하고 있다며 자체 목표 설정 방안을 옹호했다. 또한 SBTi의 접근법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관점을 고려해야 하며, 엄격한 과학과 ‘실행 가능한’ 것 사이에서 균형을 잘 맞춰야 한다고 덧붙였다. 같은 맥락에서 SBTi는 기업들이 기준 배출량을 설정할 연도를 선택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그 이유로 기업의 구조가 자주 바뀌고 배출량을 평가하는 원칙이 계속해서 개선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 단체는 더욱 대담하고 전 세계에 걸쳐 공정한 목표를 세우기 위해 지역 간 격차에 관련된 데이터를 기술 위원회를 통해 통합하고자 노력하고 있다고 성명을 통해 밝혔다. 

SBTi는 또한 투명성을 제고하고, 재생 에너지 크레딧 사용에 관한 정책을 개정할 필요성을 평가하기 위해 온실가스 프로토콜과 협력하고 있다. 이들은 성명에서 “투명성은 SBTi에만 국한된 문제는 아니지만 우리는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말했다.

SBTi는 그들이 허용한 그 어떤 방식도 오프셋과는 비슷하지 않다고 주장한다. 또 인세팅이 기후변화를 억제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앞으로 이러한 프로젝트들을 사례별로 평가할 것이라고 말한다.

이해 상충 우려에 대해 SBTi는 수수료가 단지 서비스를 유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단체에 따르면 대부분의 운영 자금은 여러 공익신탁과 재단으로부터 기부를 통해 제공된다. 피네다는 “우리는 상업적 이익과 전혀 무관하다. 평가 대상인 기관들로부터 완전히 독립적으로 운영하고 있다”고 말한다.

그는 대기 중 탄소를 제거하는 방법은 SBTi에서 인증한 계획의 일부에 불과하다고 강조한다. 그는 사람들이 “대용량 탄소 제거 기술의 도입만을 바라서는 안 된다”며 “우리가 믿어야 할 것은 신속한 탄소배출 저감이며, 이를 실천해야 한다”라고 말한다.

최종적으로 SBTi는 2023년 안에 기업들이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는지 추적 관찰할 방법과 이들이 목표 달성에 실패할 경우 어떻게 조치할 것인지에 대한 세부 사항을 발표할 계획이다.

모면책 제공하기

2025년까지 SBTi는 시가 총액으로 약 20조 달러(약 2경 5,760조 원)에 해당하는 기업들, 배출량 기준으로는 연간 50억 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업들이 SBTi에 가입해 1.5 ºC 목표에 동참하기를 희망한다. 하지만 이는 여전히 전 세계 기후 오염의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그리고 일각에서는 동참하는 대기업이 늘어나고, 또한 이들이 가장 엄격한 규칙에 반대하면서 이 단체의 기준이 강화되기는커녕 느슨해질 수 있다고 우려한다.

애틀랜틱 대학교(College of the Atlantic)의 도린 스타빈스키(Doreen Stabinsky) 지구환경정치학 교수는 SBTi가 ‘기업 부문의 호감을 사기 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요건을 완화할 가능성을 우려한다. 지난 2022년 10월 스타빈스키를 비롯한 과학자들은 SBTi가 기업으로부터 보고받은 배출량 데이터를 대중에 공개하지 않는다면, 기업들이 기후 목표를 제대로 달성하고 있는지를 ‘평가할 방법이 없을’ 것이라고 SBTI에 의견을 전달했다. (스타빈스키와 비에른은 SBTi가 새로 결성한 기술 위원회의 일원이기도 하다.)

다른 사람들은 기술이 발전해도 해결되지 않는 더 근본적인 문제가 있다고 주장한다. 현재 상황을 고려하면 유엔이 정한 목표 온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전 세계적으로 조직화된 급진적 정책이 필요하다. 이윤을 추구하는 사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세운 기준으로는 이에 도달하기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이 단체에서 공식적으로 승인한 목표들은 기업들에 기후 문제에 대한 모면책을 제공하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기업들은 목표만 제시한 채 실질적인 변화를 이끌어낼 방법들을 도입하기를 미루거나 더 엄격한 규칙에 반대하는 로비를 할 수도 있다.

SBTi는 정부의 조치가 중요하다는 점을 인정하며 기후 행동의 ‘슬로 어답터(slow adopter)’에게 압력을 가하기 위해서는 규제가 필수라고 말한다. 그러나 SBTi에서 인증한 목표에 동참하는 많은 기업조차도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기후변화와 관련하여 제안한 규칙에 공개적으로 반대하고 나서는 형편이다. 이 계획에 따르면 기업들은 이산화탄소 감축 계획 및 홍수나 화재와 같은 기후변화로 인한 재앙에 기업이 노출된 정도를 공개해야 한다.

타이슨푸드는 기후 관련 정보 공개가 ‘혁신을 억제하고 경쟁적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고 말했으며, 월마트는 기후 관련 재무 정보 보고 요건을 삭제해 달라고 증권거래위원회에 요청했다. <가디언(The Guardian)>이 조사한 바에 의하면,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의 회원이기도 한 애플과 펩시코의 경영진은 공급망 내 기후 위험 보고 의무를 약화하기 위해 로비를 벌였다고 한다.

그린은 SBTi가 규제기관이라기보다는 동호회처럼 행동하며, 사람들의 태도를 변화시키기보다 가입을 유도하는 데에 관심이 많다고 비판한다. 그녀는 SBTi가 기후 행동을 이끌어내기 위한 유일한 방식이 아니며, 최고의 선택도 아니라고 말한다. 이는 기후 변화의 위험성이 커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이 엄격한 배출 규제를 통과하고 시행하려는 의지가 여전히 부족한 상황에서 현시점에 이용할 수 있는 선택지 가운데 하나일 뿐이다.

이 글을 쓴 이안 모스(Ian Morse)는 시애틀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독립 저널리스트다. <워싱턴포스트(The Washington Post)>, 환경전문매체 <몽가베이(Mongabay)>, 과학잡지 <언다크(Undark)>를 비롯한 여러 매체에 기고하였으며 <그린 록스 뉴스레터(Green Rocks newsletter.)>를 발행하고 있다.

미리보기 2회1회

MIT Technology Review 구독을 시작하시면 모든 기사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