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Google, Amazon and the problem with Big Tech’s climate claims

구글과 아마존 등 기후 문제 둘러싸고 깊어지는 테크 기업들의 고민

기업의 탄소 배출량 감축 활동과 관련해 감축 목표 달성에 걸리는 시간보다 감축 방법이 더 중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최근 아마존은 전 세계 자사 사업장의 모든 사무실, 데이터 센터, 식료품점, 창고에 필요한 에너지 수요를 충분히 충족할 수 있는 청정 전기를 구매한 뒤 이에 대해 자체적으로 수립한 지속가능성 목표 시점보다 7년이나 빠르게 달성한 성과라며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이 뉴스는 구글이 지난해 AI 사업으로 인한 에너지 수요 급증으로 기업 탄소 배출량이 13% 증가했다는 사실을 인정하며 이미 탄소 중립을 달성했다는 기존의 주장을 번복한 직후에 전해졌다.

양사의 발표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면 기후 오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경쟁에서 구글은 부진한 성적을 냈지만 아마존은 우수한 성적을 낸 것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양사의 탄소 감축 전략에는 모두 한계가 있다. 게다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접근 방식에서 보다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것은 오히려 구글의 모델이다.

사실 최근에는 기업이 온실가스 순배출량이 0이 되는 넷제로(net-zero)를 얼마나 빨리 달성하느냐보다는 어떻게 달성하느냐가 더 중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다. 또한 기업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의 완전한 상쇄보다는 더 광범위한 기후 영향에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의견이 대두되면서 넷제로 개념에 기반한 기업의 기후 행동 모델을 넘어선 새로운 관점이 등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처럼 새로운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는 이유를 이해하려면 먼저 두 테크 기업의 접근 방식의 차이와 기업의 기후 전략이 실패하는 주요 요인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왜곡된 인센티브 체계

MIT 테크놀로지 리뷰와 함께, 미래를 앞서가세요 !!
한달에 커피 2잔값으로 즐기기
온라인 멤버
지면 매거진 멤버
(온라인+지면) 프리미엄 멤버

유료회원 플랜 보기 회원이면 로그인하기 회원가입

회원 가입 후 유료 구독 신청을 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