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tephanie Arnett/MIT Technology Review | Envato
필자는 최근 마음과 몸이 얼마나 강하게 연결되어 있는지에 대해 생각해봤다. 새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심장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들은 더 희망적이고 낙관적인 마음일 때 치료 결과가 더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환자가 절망감을 느낄 경우 사망 위험이 현저히 더 큰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플라세보 효과’에 대한 수십 년에 걸친 흥미로운 연구를 기반으로 한다. 플라세보 효과란 환자가 ‘가짜 약’을 진짜라고 믿고 복용했을 때 실제로 효과가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이처럼 우리가 약이나 가짜 약에 대해 품고 있는 믿음과 기대에 따라 약물의 작용 방식이 실제로 변화할 수 있다. 플라세보 효과의 반대 개념인 ‘노세보 효과’도 마찬가지로 강력하다. 부정적인 생각을 품으면 실제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여전히 몸과 마음이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그리고 우리의 생각이 신체의 생리 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많은 연구자들은 이러한 이해를 병원 환경에서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과연 의사가 환자에게 ‘희망’을 처방하는 것이 가능할까?
리버풀 대학교에서 심리학 수업을 맡고 있는 알렉산더 몬타셈(Alexander Montasem) 박사는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한다. 그는 최근에 동료들과 함께 심혈관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