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사람을 구하고, 사람을 살리는 기술을 만들겠다”

112나 119에 긴급 구조 전화를 한 사람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지 못해 생기는 불상사를 해결해 더 많은 사람의 생명을 구하기 위해 힘쓰고 있는 문희찬 한양대학교 공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를 만났다.

재난과 범죄 등의 위급 상황 발생 시 사람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할 수 있는 시간을 골든 타임이라고 한다. 하지만 정확한 위치추적이 어려워 이런 골든 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흔하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가 지난해 말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6년부터 2020년까지 경찰청에 요청된 GPS와 와이파이 위치조회 2,160만 3,800여건 중 위치추적 성공 건수는 689만 9,600여건으로 전체 요청 건수의 31.9%에 불과했다.

위치추적 성공률이 이처럼 낮은 이유는 무엇보다 현재 이용되고 있는 위치추적 기술이 가진 여러 가지 기술적 한계 때문이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여 위치추적 성공률을 획기적으로 끌어올려 더 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 애쓰고 있는 문희찬 교수(사진)를 만나 그동안 문 교수팀이 이뤄낸 연구 성과와 과제에 대해 들어봤다.

Q) 현재 위치추적 기술은 재난과 범죄 상황 외에도 친구찾기, 여행, 피트니스, 트래킹, 내비게이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지만 늘 정확성이 떨어진다는 게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현재 개발 중인 기술은 지금 이용되고 있는 기술과 정확도 등의 면에서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려 달라.

A)  영화를 보면 특정인물의 위치를 자유자재로 추적하는 장면들을 흔히 볼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 위치추적은 현실적인 벽에 부딪쳐서 제대로 동작하지 않는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와 함께, 미래를 앞서가세요 !!
한달에 커피 2잔값으로 즐기기
온라인 멤버
지면 매거진 멤버
(온라인+지면) 프리미엄 멤버

유료회원 플랜 보기 회원이면 로그인하기 회원가입

회원 가입 후 유료 구독 신청을 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