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과 사회 How to teach kids who flip between book and screen 디지털 문해력의 시대, 책과 스크린 사이에 있는 아이들을 가르치는 방법 기술의 발전으로 글을 읽는 방식이 달라졌다. 이제 아이들의 읽기 교육도 다시 생각해 볼 때다.
인공지능 Suddenly, everyone wants to talk about how to regulate AI 가장 유망한 AI 규제 방안 6가지 분석 전세계에서 인공지능(AI)을 통제하기 위한 노력이 확산되고 있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가 가장 유망한 AI 규제 정책과 가장 현실성이 부족한 방안을 살펴봤다.
인공지능 Three ways AI chatbots are a security disaster AI 챗봇이 초래할 수 있는 ‘보안 위협’ 세 가지 AI 챗봇의 활용 범위가 기술 제품 전반으로 확대되고 있지만, 그 기반 기술인 대형 언어모델(LLM)은 아직까지도 보안에 너무나 취약한 상태다.
인공지능 An early guide to policymaking on generative AI 생성 AI 관련 정책에 대한 미국과 유럽의 가이드 현황 생성형 AI가 불러온 기술 혁명은 우리가 지금껏 경험하지 못했던 위험들을 불러오고 있다. 거버넌스 관점에서 생성형 AI 혁명에 대한 대응 방안과 현황을 살펴봤다.
인공지능 OpenAI’s hunger for data is coming back to bite it 오픈AI의 데이터 욕망,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나 이탈리아가 챗GPT를 차단하며 촉발된 개인정보 수집 문제는 이제 전 세계로 확장되고 있다. 남은 일주일 동안 펼쳐질 일들이 향후 오픈AI의 방향을 크게 좌우할 수 있다.
SPONSORED 기술 정책 How one elite university is approaching ChatGPT this school year 대학교서 챗GPT 사용 막아야 하나…예일 대학교 방침을 듣는다 세계적 명문 대학교인 예일 대학교는 챗GPT 사용을 금지하는 대신 교수진이 이 기술을 학습하고 적절히 규제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기사제공
기술 정책 How new tech is helping people circumvent digital authoritarianism 점점 심해지는 인터넷 검열, 신기술로 맞선다 이란에서 중국과 러시아에 이르기까지 검열 당국과 검열을 피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쫓고 쫓기는 '고양이와 쥐' 게임이 점점 더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기술과 사회 Next slide, please: A brief history of the corporate presentation 기업 프레젠테이션의 ‘짧은’ 역사…슬라이드 쇼에서 스티브 잡스의 키노트까지 수십 대의 프로젝터가 설치된 100만 달러짜리 슬라이드 쇼에서 스티브 잡스의 아이폰 출시 프레젠테이션까지, 기업 프레젠테이션은 비즈니스에서 빼놓을 수 없는 요소로 자리잡은 지 오래다.
기술 정책 Google has a new tool to outsmart authoritarian internet censorship 이란 검열로도 못 막는다…구글, 인터넷 검열 우회 ‘툴’ 공개 구글 자회사 직소(Jigsaw)가 개방형 서비스인 아웃라인(Outline) VPN을 앱에 내장할 수 있도록 관련 ‘코드’를 공개했다. 시위 등이 벌어지기만 하면 인터넷 검열을 밥 먹듯이 하는 이란 같은 권위주의적 정부가 인터넷 접속을 차단하기 어렵게 만드는 게 목적이다.
기술과 사회 No power, no fans, no AC: The villagers fighting to survive India’s deadly heatwaves 전기도 없는 폭염 속에서 싸우는 인도 사람들 기록적인 폭염은 전기도, 선풍기도, 에어컨도 없는 기후 취약 지역에 특히 더 잔인한 영향을 미친다. 나글라 툴라이(Nalga Tulai)와 같은 인도의 외진 마을 사람들은 폭염 속에서 생존을 위해 싸우고 있다.
기술과 사회 Worldcoin just officially launched. Here’s why it’s already being investigated. 최근 정식 출시된 월드코인을 둘러싼 논란 오픈AI의 설립자 샘 올트먼이 이끄는 월드코인이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하지만 이미 4개 국가에서는 이 프로젝트의 개인정보 침해 가능성을 우려하며 조사에 착수했다.
기술 정책 The race to find a better way to label AI AI 생성 콘텐츠를 표기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 C2PA라고 불리는 인터넷 프로토콜은 암호화를 통해 이미지, 영상, 오디오에 라벨을 부여한다.
기술 정책 Six ways that AI could change politics AI가 정치를 변화시키는 6단계 AI가 주도하는 새로운 정치의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변화하는 AI 정치 환경을 6가지 단계로 예상해봤다.
기술 정책 Cryptography may offer a solution to the massive AI-labeling problem AI 생성 콘텐츠 감지, C2PA 기술이 해결책 될까? 어도비, 마이크로소프트, 인텔, 셔터스톡 등 1,500여 개의 기업이 암호 기법을 활용한 C2PA 프로토콜 프로젝트에 참가하고 있다. AI 생성 콘텐츠에 라벨을 삽입하는 이 기술은 워터마크 부착보다 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까?
기술 정책 Is the digital dollar dead? 미국의 ‘디지털 달러’ 도입은 불가능할까? 미국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발행이 정치적 이슈에 막혀 표류하고 있다. 다른 국가들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 중인 상황에서 MIT와의 공동 연구도 중단된 지금, 미국의 디지털 달러는 실현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