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oengineering researchers have halted plans for a balloon launch in Sweden

최초의 성층권 지구공학 실험, 논란 끝 연기

자문 위원회는 공개 토론이 완료될 때까지 연구팀에게 테스트를 연기할 것을 권고했다.

하버드대 지구공학 연구 프로젝트 자문위원회는 올 여름 스웨덴에서 시행 예정이었던 첫 번째 풍선 비행(Balloon Launch) 계획을 중단할 것을 이례적으로 권고하고 있다.

비행 목적은 성층권에서 풍선 장비와 소프트웨어를 평가하는 것이었다. 연구팀은 이어 후속 발사를 통해 소량의 입자를 방출하여 태양 지구공학(Solar Geoengineering)의 위험성과 잠재성을 보다 잘 파악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태양 지구공학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개념으로 황산염, 탄산칼슘 또는 다른 화합물을 지구 위에 뿌려 햇빛을 분산시키고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려는 계획이다. 성사되었더라면, 이 실험은 지구공학 관련 사상 첫 성층권 실험이 되었을 것이다.

그러나 자문위는 연구팀이 스웨덴 시민과 논의를 마칠 때까지 예비 장비 테스트도 연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데이비드 키스(David Keith) 하버드대 기후 과학자이자 연구팀 멤버는 권고를 따르겠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으로 발사가 2022년으로 연기되어, 당초 2018년부터 시작될 예정이었던 프로젝트가 더욱 지연될 전망이다. 연구팀은 당초 올해 발사를 수용할 여력이 있다는 이유로 스웨덴 키루나 소재 이스레인지 우주 센터(Esrange Space Center)를 선정했기 때문에, 앞으로 최초 비행이 다른 곳에서 실시될 가능성도 있다.  

이 센터를 스웨디시 스페이스 코퍼레이션 (Swedish Space Corporation) 역시 최근 지구공학 전문가, 자문위원, 기타 이해관계자와의 협의에 따라 비행을 실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발표했다.

하버드대는 2019년 자문위를 설치해 실험 계획을 검토했다. 또한, 연구팀이 위험 제한, 외부 입력 확보, 투명한 운영을 위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도록 했다.

위원회는 성명을 통해 스웨덴에서 대중 참여 전문가와 협력하고, 대화 주최 단체를 물색하는 절차에 착수했다고 밝혔다.

자문위는 “이번 참여는 위원회가 스웨덴 국민들과 원래 살던 사람들의 관점을 이해하고, 스웨덴에서의 장비 시험 비행과 관련하여 정확하고 호응을 얻을 수 있는 권고를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스웨덴의 참여는 입자 방출 비행 계획에 대한 위원회 심의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지구과학 연구의 공공 거버넌스와 관련된 연구 및 실천도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구 프로젝트의 수석 연구원인 프랭크 코이치(Frank Keutsch)는 발표문을 통해 다음과 같이 주장했다. “연구팀은 스웨덴에서 모든 장비 시험 비행을 중단해야 한다는 자문위의 권고를 전적으로 지지한다. 중단 시한은 스웨덴에 원래 살던 사람들을 포함하는 활발한 공공 참여를 토대로 위원회가 최종 권고를 내릴 때까지이다. 우리 팀은 공공 참여 과정에 귀 기울여 실험 추진 방향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계획이다.”

최근 몇 주 동안, 일부 환경 단체와 지구공학 비평가들은 스웨덴 정부 관리들과 스웨덴 우주 센터 고위직에게 이 프로젝트를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그린피스 스웨덴(Greenpeace Sweden), 바이오연료 감시기구(Biofuelwatch), 기타 기관들은 다음과 같은 성명을 발표했다. “태양 지구공학은 극한의 결과를 초래할 수 있는 기술이며, 위험하고 예측 불가능하며 통제불능이라는 특징이 있다. 너무 위험해서 사용할 수도 없는 기술을 테스트하고 실험할 정당한 명분이 없다.”

지난 2월, 기자는 하버드대 연구원들이 이 실험을 통해 알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위해 특집기사를 썼다.

코이치 연구원은 나에게 이렇게 얘기했다. “내 생각은 사실 매우 확고하다. 이런 일이 실제로 절대 안 일어났으면 좋겠다. 아주 무서운 생각인데다 뭔가 잘못될 것 같은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그는 “하지만 어떤 위험이 닥칠지 잘 파악하는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만약 [기후 변화] 위험을 확실히 줄일 수 있는 재료가 있다면, 이것이 과연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한다.”

미리보기 2회1회

MIT Technology Review 구독을 시작하시면 모든 기사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