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mates are using VR to learn real-world skills

VR로 현실 세계를 배우는 재소자들

미국의 교도소들이 재소자에게 현실 세계를 가르치기 위해 VR 체험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다. 과연 이 방법은 효과가 있을까?

형광등이 켜진 밀폐된 방 한가운데 41세의 아토러스 레이너(Atorrus Rainer)가 서 있다. 그의 눈에는 대형 고글처럼 생긴 VR(virtual-reality, 가상현실) 헤드셋이 씌워져 있다. 슈퍼마켓에 가는 VR 체험이 한창 진행 중이다. 그는 VR 컨트롤러로 손을 뻗어 쓰레기봉투, 칫솔, 화장지를 집어 든다. 여기서 할 수 있는 일은 많지 않다. 사전에 작성한 쇼핑 목록을 따라야 하고 빈 상점 내 특정 구역만 이동할 수 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다양한 상품이 있는 이 디지털 세계는 여전히 그를 압도한다. 셀프 계산대도 마찬가지다. 2001년 10대 청소년이었던 그가 100년 이상의 징역형을 선고받았을 때만 해도 없었던 물건이다. 이렇게 레이너는 VR로 현대의 슈퍼마켓을 경험했다. 이 프로그램은 미국 덴버에서 남쪽으로 2시간 정도 떨어진 중간 보안등급 교도소, 프리몬트 교도소(Fremont Correctional Facility)에서 운영하고 있다. 

청소년들의 가석방 없는 형 집행을 위헌으로 간주한 미국 대법원의 판결에 따라 콜로라도주는 2017년부터 ‘청소년 및 청년 재소자 교화 프로그램(Juveniles and Young Adults Convicted as Adults Program, 이하 ‘JYACAP’)’을 시작했다. 21세 미만에 중범죄를 저질렀고 최소 20년에서 30년 동안 교도소에 수감된 재소자들은 3년 과정의 이 프로그램을 통해 조기 가석방의 기회를 얻을 수 있다. 레이너도 이른 시일 내 현실 세계의 상점을 방문할 수 있길 희망하며 이 프로그램에 참여하고 있다. 

JYACAP은 청소년 시기에 수감된 재소자들에게 배움의 기회를 놓친 기본적인 기술들을 가르쳐, 출소 이후 성공적으로 사회에 적응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러나 그 실행이 쉽지만은 않다. 안전상의 이유로 재소자들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다. 이제 어른이 된 재소자 중 대다수가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신용카드를 사용한 적이 없거나 심지어 본 적조차 없다. 콜로라도 교정국(Colorado Department of Corrections)의 교도소 부문 임시 책임자 멜리사 스미스(Melissa Smith)는 “우리는 제한된 환경에서 재소자들이 기본 기술을 배울 수 있는 방법을 찾아야 했다”라고 설명했다. 

아직 대중화되지 않았지만 오하이오주, 뉴멕시코주 등 미국의 몇몇 주의 교정국에서 VR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하고 있다. 목표는 공격적 행동을 줄이는 것, 피해자와 공감하는 것, 그리고 콜로라도주의 경우처럼 재범률을 낮추는 것까지 다양하다. 콜로라도주의 교도소 예산은 10억 달러(약 1조 3,200억 원)지만, 출소 후 교도소 복귀율은 약 50%로 미국 전체에서도 높은 편에 속한다. 그리고 미국 전체 통계를 보면 매년 주 교도소 및 연방 교도소에서 출소하는 60만 명의 재소자 중 3분의 2가 3년 내 다시 수감된다. 

VR은 이러한 상황을 개선할 수 있는 마지막 퍼즐 조각이 될까? 아니면 재소자들의 출소 후 생활에 도움이 되지 않는 또 다른 실험에 그칠까? 발도스타 주립 대학교의 형사사법 부교수 바비 티크노어(Bobbie Ticknor)는 “VR이 완벽한 해결책은 될 수 없겠지만, 많은 재소자에게 큰 도움을 줄 것이다. 그들은 교도소에서 배우는 것을 실제로 연습할 기회가 없기 때문이다”라고 설명한다. 이어서 그는 “가능한 모든 방법을 시도해 보고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라고 강조했다. 

티크노어와 같은 지지자들은 VR을 통해 재소자들이 현실 세계의 모습과 소리에 익숙해질 수 있고, 안전한 시설 내에서 디지털 사용 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기관들의 VR 도구 사용에 도움을 주고 있는 버추얼 트레이닝 파트너스(Virtual Training Partners)의 설립자 겸 대표 에단 몰러(Ethan Moeller)는 “역할 체험을 하거나 새로운 기술을 배울 때, 실제 상황과 비슷한 경험을 할수록 습득 효과가 높다”라고 설명한다. “VR은 다른 어떤 교육 수단보다 이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다”라고 그는 덧붙였다. 

VR에 대한 회의적인 시각도 있다. 필라델피아 교도소에서 매주 범죄학 수업을 진행하는 드렉셀 대학교의 부교수 신디 리카즈(Cyndi Rickards) 박사가 그중 하나다. 죄수복의 등에는 재소자임을 나타내는 표식이 붙어 있는데 리카즈는 이것이 인간성을 박탈하는 시스템이라고 말한다. “교도소에서 VR을 사용해 재소자들을 사회에 적응시킬 수 있다는 주장은 그들을 더욱 물건처럼 취급하고 인간성을 박탈하는 패턴을 지속시킬 뿐이다. 재소자들을 건강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구성원으로 만들기 위해 VR을 사용해야 하는 설득력 있는 근거를 찾을 수 없다”라고 리카즈는 강조했다. 

레이너는 슈퍼마켓 VR 체험이 유익하다고 생각하지만, 현실은 프리몬트 교도소에서 경험하는 비디오 게임 같은 버전과 다르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 그는 “나중에 사회에 나갔을 때 슈퍼마켓이나 상점에서 살 수 있는 선택지가 너무 많아서 당황하고 싶지 않다. 컴퓨터를 좋아하지 않지만, 해야 하는 일이다”라고 말했다. 

VR 기술이 점차 대중화되면서 VR 체험 프로그램은 그동안 인력 부족에 시달려온 주에서 예산을 절감할 수 있는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다. 콜로라도주의 국립 정신건강 혁신 센터(National Mental Health Innovation Center)의 기술 연구 프로그램 관리자로 일했던 사라 리멜(Sarah Rimel)은 “재범률이 감소하면 범죄가 줄어들고 지역 사회에 도움이 된다. 교도소 시설에 투입되는 비용도 줄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VR은 우울증 비율을 낮추고, 불안을 완화하고, 공포를 극복하고, 정서적 공감대를 강화하고, 외상 후 스트레스를 다루는데 효과적인 치료 도구로 입증됐다. VR 치료는 전역한 군인이나 성폭행 피해자처럼 취약 계층의 사람들이 자극과 트라우마에 직면해 잘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데 큰 도움을 준다. 그러나 이 모든 연구는 재소자가 아닌 사람들에 대한 개입을 기반으로 한다.

교도소에서 VR의 유효성에 대한 근거들은 제한적이고 대부분 입증되지 않았다. 그러나 몇 가지 긍정적인 결과도 있다. 예를 들어 VR에 마음 챙김(mindfulness) 기술을 통합한 알래스카주의 단기 시범 프로그램은 우울함이나 불안감에 대한 보고 및 징계 기록을 효과적으로 줄였다. 미시간주에서는 교도소에 수감된 남성 44명을 대상으로 심각한 정신질환자들을 위해 개발된 VR 면접 훈련 프로그램을 시범적으로 진행했다. 2022년 3월에 발표된 결과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 참가자들의 82%가 출소 후 6개월 내 일자리를 얻었지만, 다른 프로그램에 참가한 대조군의 경우 69%에 그쳤다. 나이, 인종, 복역 기간과 같은 변수를 고려하면 VR 프로그램 참가자들이 일자리를 얻을 확률이 7.4배 높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 연구를 이끈 미시간 대학교의 사회복지학 교수 매튜 스미스(Matthew Smith)는 “단순히 취업률을 넘어 몰리(가상 채용 관리자)와 면접을 진행한 참가자들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면접 기술이 향상됐고, 면접에 대한 불안감이 줄었으며, 면접 동기도 강력해졌다”라고 설명했다. 현재 스미스 교수와 팀원들은 더 많은 사람을 대상으로 검증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콜로라도주는 VR의 유효성을 검증할 충분한 데이터를 가지고 있지 않다. 그들의 기록에 의하면 약 3년 동안 JYACAP를 마치고 출소한 16명 중 1명만이 다시 수감됐다. 16명 중 2명은 전체 과정을 마치기 전에 가석방됐다. JYACAP의 1차 수료자 중 하나인 셰릴 암스트롱(Cheryl Armstrong)은 “적절한 시나리오가 VR에 적용된다면 우리가 사회에서 직면할 상황을 배우는데 어느 정도 도움이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 

티크노어 교수는 현재 VR 체험 프로그램을 도입한 교도소가 전체의 10% 미만에 불과한 것으로 추정하지만, 곧 변화할 것을 기대한다. 그녀는  “앞으로 5년 내 VR은 재소자들을 위한 매우 일상적인 프로그램으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이 글을 쓴 달리아 싱어(Daliah Singer)는 미국 덴버에서 활동하는 프리랜서 저널리스트다. 

미리보기 2회1회

MIT Technology Review 구독을 시작하시면 모든 기사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