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틱톡이 내 얼굴에 멋대로 뷰티 필터를 입혔다
토리 던(Tori Dawn)은 5월 말 영상을 찍기 위해 틱톡을 연 뒤 “이건 내 얼굴이 아니야”라고 생각했다. 화면에 보인 그의 턱은 실제 모습과 달랐다. 더 갸름하고 더 여성스러워 보였다. 카메라 앞에서 손을 흔들며 카메라 렌즈에서 얼굴 대부분을 가리자, 턱은 원래의 모습으로 돌아왔다. 피부 톤도 더 환했던가?
더 알아보니, 이미지가 틱톡 앱의 뷰티필터를 통해 나오는 것 같았다. 던은 약 32만 명의 팔로워를 대상으로 라이브스트림 방송과 영상 촬영시 뷰티필터를 꺼둔다. 그러나 앱 설정이 바뀌면서, 뷰티필터 효과를 비활성화할 방법이 없었다. 뷰티필터는 계속 작동되는 것 같았고, 던의 외모를 미묘하게 여성스럽게 바꾸었다.
던은 인터뷰에서 “나는 상당히 중성적으로 생겼다. 그리고 내 턱선도 맘에 든다”고 말했다. “그래서 턱선이 드러났다 사라졌다 하는 것을 보면, 나는 ‘왜 그러지, 이유가 뭘까?’라는 생각이 든다. 내 얼굴에서 맘에 드는 유일한 부분이 턱인데, 왜 이러는 걸까?”
뷰티필터는 이제 온라인에서 삶의 일부가 되었고, 이를 통해 사용자들은 소셜미디어에 보이는 자기의 모습을 바꿀 수 있다. 뷰티필터는 눈을 크게, 입술을 도톰하게 할 수 있고, 화장한 것처럼 보이게 하며, 얼굴형도 바꿀 수 있다. 일반적인 앱에서는 뷰티필터 사용 여부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다. 그래서 이 이상한 효과를 접한 던과 다른 사람들은 너무 화가 나고 불편했다.
던은 영상을 통해 팔로워들에게 이 사실을 알리며, 화면에 앱 효과가 나타났다 사라졌다 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나는 이렇게 안 생겼는데 이렇게 나오니까 영상을 찍는 것이 불편하다. 어떻게 바꿔야 할지 모르겠다”고 주장했다. 이 영상은 30만 건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했고, 같은 현상을 눈치챈 다른 사용자들이 공유 및 듀엣했다.
※ Duet: 다른 이용자가 만든 영상을 활용해 새로운 콘텐츠를 재생산하는 기능이다. 다른 이용자 영상과 자신이 노래, 춤추기, 연기 등을 하는 영상을 나란히 놓는 방식으로 주로 사용한다.
♬ 오리지널 사운드 – 토리 던
누군가는 “그래서 내가 요즘 외계인처럼 보이는 건가?”라고 말했다.
“틱톡. 이거 고쳐줘”라고 말한 사람도 있다.
5월말 이런 영상은 수일 동안 유포되었다. 틱톡 사용자 중 일부가 카메라를 들여다 보자, 자기의 얼굴이 아닌 다른 얼굴이 보였다. 영상이 퍼지자, 틱톡이 일부 사용자에게 몰래 뷰티필터를 테스트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궁금해하는 이용자들이 많았다.
이상하고 일시적인 문제
나는 틱톡에서 영상을 만들어 올리지는 않고 눈팅만 하는 사람이다. 던의 영상을 본 뒤, 내 카메라에도 이 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보기로 했다. 영상을 찍기 시작하자, 턱 모양이 분명히 달라졌다. 피부도 부드러워 보이는 것 같기는 한데 확실하지는 않았다. 나는 이 영상을 동료와 트위터 팔로워에게 보내서, 앱을 열고, 휴대폰에서 사용해 보라고 했다. 그들의 반응을 통해, 나는 이 효과가 안드로이드 폰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게 되었다. 틱톡을 사용하고 이틀 후에야 뷰티필터 효과가 멈췄다. 틱톡은 이후 짧은 성명을 통해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인정했지만, 자세한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표면적으로 이것은 일부 사용자에게 영향을 미친 기이하고 일시적인 문제였다. 그러나 틱톡이 강제로 사람의 외모를 바꾼 것은 사실이었다. 미국에서 사용자 수가 1억이 넘는 앱으로서는 치명적인 결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나는 또한 이 비디오를 뷰티필터의 심리적 영향을 연구하는 위스콘신대 박사과정생 에이미 니우(Amy Niu)에게 보냈다. 에이미는 중국 및 다른 지역에서는 일부 앱이 기본적으로 미묘한 뷰티필터를 추가한다고 지적했다. 위챗 같은 앱 사용 시, 그녀는 본인의 카메라를 사용한 사진과 앱에서 생성된 이미지 비교를 통해서만 뷰티필터가 설치되었는지 알 수 있다.
몇 달 전, 그녀는 틱톡의 중국 내 버전인 더우인(Douyin) 앱을 다운로드했다고 말했다. 그녀는 “뷰티 모드와 필터를 껐는데도 얼굴이 보정되었다”고 했다.
에이미는 뷰티필터가 반드시 나쁜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앱 디자이너들은 뷰티필터가 어떻게 사용될 것인지, 그리고 뷰티필터 사용자를 어떻게 변화시킬 것인지를 고려해야 할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비록 일시적인 문제일지라도, 뷰티필터는 사람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보는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에이미는 ‘미(美)의 기준의 내면화, 자신의 신체 이미지, 외모에 관한 우려를 강화할지 여부’가 모두 고려 대상이라고 주장했다.
이 이상한 얼굴 효과는 틱톡의 이상한 점의 또 하나의 사례일 뿐이다. 던은 “이것은 나르시스트와의 관계를 연상하게 한다. 틱톡 영상은 1분(틱톡 최장 촬영 시간) 동안 애정공세(Love-bomb)를 펼쳐서, 덕분에 팔로워도 생기고 관심도 얻게 해 주어 기분을 좋게 만들어 준다. 그런데 그런 다음 무슨 이유에서인지 관계를 끊어 버린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