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OURTESY OF VERITONE
How a new type of AI is helping police skirt facial recognition bans
‘규제 무풍지대’ 속 확산되는 AI 추적 기술 ‘트랙’
AI 기술을 활용한 추적 도구 '트랙'이 안면 인식 기술 규제를 피해 다양한 공공 기관에 도입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두고 정부와 경찰의 감시 강화와 권력 남용을 둘러싼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 경찰과 연방 기관들이 안면 인식 기술에 대한 규제를 피하기 위해 AI 기술을 활용한 새로운 방법을 도입하면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이 기술은 체격, 성별, 머리 색과 스타일, 옷차림, 액세서리 등의 외형적 특징을 바탕으로 특정 인물을 추적할 수 있다.
‘트랙(Track)’이라는 이름의 이 도구는 동영상 분석 회사인 베리톤(Veritone)이 개발했으며, 현재 미국 전역의 주 및 지방 경찰서, 대학 등 400여 곳의 고객이 사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연방정부 차원에서도 도입이 확대되고 있으며, 미 법무부(DOJ) 소속 연방 검사들은 2023년 8월부터 범죄 수사에 트랙을 활용하기 시작했다. 베리톤은 트랙 외에도 국토안보부(DHS)와 국방부(DOD) 등 주요 기관에서 자사의 실제 안면 인식 기술을 포함한 다양한 AI 도구들을 사용하고 있다고 밝혔다.
라이언 스틸버그(Ryan Steelberg) 베리톤 CEO는 트랙의 개발 취지가 “안면 인식을 사용할 수 없는 상황에서 어떻게 범죄자나 악의적인 행위를 저지른 사람들을 추적할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서 출발했다고 밝혔다. 그는 “트랙을 이용하면 안면 인식이 법적으로 허용되지 않는 상황뿐 아니라, 얼굴이 가려져 있거나 카메라에 잘 보이지 않을 때도 개인을 추적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