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st century cities: Asia Pacific’s urban transformation

21세기 도시: 亞·太 지역 도시의 변화는 ‘현재 진행형’

아시아·태평양 지역 도시의 지속가능성과 포용성에 관한 MIT 테크놀로지 리뷰 인사이트의 보고서를 통해 수십 년 동안 경제 성장을 누리고 있는 이 지역 도시들이 현재 어떤 문제에 직면해 있고, 또 그 문제들을 어떻게 해결해나가고 있는지를 살펴보자.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수십 년 동안 경제 성장을 누리고 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일본의 경제 성장부터 1960년대에서 1990년대 사이에 있었던 ‘아시아의 네 마리 호랑이(대한민국, 대만, 싱가포르, 홍콩)’의 급격한 산업화와 20세기 후반 중국의 급부상, 그리고 오늘날 가장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동남아시아 시장까지 그러한 경제 성장을 잘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의 중심에는 이 지역의 급격한 ‘도시화’가 있다. 1970년부터 2017년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개발도상국들은 인구 증가세나 경제 성장 속도에서 세계 나머지 지역을 훨씬 넘어섰다. 이 지역의 도시 인구는 1년에 3.4%씩 증가했는데, 이는 다른 지역 개발도상국의 도시 인구가 2.6%, 선진국의 도시 인구가 1% 증가한 것과 비교하면 상당히 빠른 증가 속도다. 이러한 증가세는 앞으로 몇 년 동안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결과적으로 2050년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새로 추가되는 도시 인구는 10억 명을 넘길 전망이다.

21세기 도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도시 전환
전체 보고서 다운받기

오늘날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도시들은 국제적 명성을 얻고 있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conomist Intelligence Unit)’이 발표한 ‘2021 글로벌 살기 좋은 도시 지수(2021 Global Liveability Index)’ 10위 안에 오클랜드, 오사카, 애들레이드, 웰링턴, 도쿄, 퍼스, 멜버른, 브리즈번까지 무려 여덟 개 도시가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이 지역의 저소득 지역에 사는 주민들은 세계에서 가장 열악한 생활 환경에 직면해 있다. 2021년에 발표된 순위를 보면, 환경오염, 폭염, 물 공급량 부족, 자연재해, 기후변화 취약성 등 각종 환경 요인으로 가장 심각한 위기에 처한 세계 100대 도시 중에 99곳이 아시아에 있었다.

기후 취약성이 가장 큰 도시 거주자들은 주로 도시 주변부에 있는 위험한 곳에서 홍수방지 대책도 없고 온도 조절도 불가능한 열악한 건물에 사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사람들이다. 이들에게는 에어컨 같은 시설도 부족하며, 홍수 같은 재해로 인해 소득에 문제가 생겼을 때 버텨낼 경제적인 능력도 부족하다.

도시들은 점점 커지면서 점점 더 불평등한 곳이 되는 경우가 많다. 경제활동이 활발해지면서 토지 가치는 상승하고 오염도 늘어나는데, 이로 인해 더 나은 지역으로 이사할 능력이 부족한 저소득 시민들이 불이익을 받게 된다. 심지어 바람직한 투자도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 중심 지역으로 이동하는 시간을 줄여주는 대중교통 또한 대중교통 노선을 중심으로 임대료를 상승시키면서 저소득 거주자를 다른 곳으로 내몰 수 있다. 아시아 지역의 주택들은 많은 이들에게 너무 비싸게 느껴질 정도로 점점 가격이 상승하고 있다. 211개 아시아 도시를 조사한 한 분석 결과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 도시의 주택들은 중위 소득 가구가 구매할 수 없을 만큼 가격이 심각하게 상승해 있다. 이러한 주택 가격 상승으로 많은 도시 거주자들은 열악한 주택에 거주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안전한 물과 위생 시설을 제대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처럼 다양한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지만,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이 지역의 과거와 현재에서 용기를 얻을 수 있다. 싱가포르는 세계에서 가장 살기 좋은 도시로 우뚝 섰지만, 첫 시작은 매우 힘들었다고 싱가포르 국토개발부 산하 살기좋은도시센터(Centre for Liveable Cities)의 전직 임원 쿠 텡 취(Khoo Teng Chye)는 회상했다.

그러면서 그는 이렇게 설명했다. “1960년대 초반에 싱가포르는 급격한 경제 성장으로 인구과밀 현상이 발생했다. 주택이 부족했고, 빈민가가 많이 생겨났으며, 사람들은 열악하고 지저분한 환경에서 살아야 했다. 싱가포르강은 당시 개방하수였고, 제한급수 방식을 사용했다. 내가 어릴 때는 수돗물이 하루종일 나오지 않기도 하다가, 장마철에는 홍수가 나곤 했다.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도시 문제는 다 있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현재 싱가포르 인구는 그때보다 세 배나 늘었지만, 싱가포르는 이제 살기 좋고, 매력적이며, 회복탄력성 있는 도시가 되었다.”

이제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더 지속 가능하고, 회복 탄력적이며 포용적인 도시를 만들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시들은 환경 문제에 혁신적으로 대응하는 작업을 시작하고 있다. 예를 들어, 홍수를 줄이고 대기질을 개선하기 위한 ‘스펀지 도시(sponge city)’ 건설,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 건축 자재 사용, 기후에 더 제대로 대응할 수 있도록 낡은 건물 개조 등 자연을 기반으로 회복탄력성을 확보하는 방식이나 더 지속 가능한 교통 솔루션을 개발하는 방식이다.

기술을 활용하는 것도 도시들이 서비스 제공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격차를 해소하고 취약계층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여기에는 공식적인 주소 체계가 없는 지역에 사는 주민들을 돕기 위한 토지 권리 디지털화와 지역 지도화, 도시 안전 문제를 해결하는 스타트업 앱들, 노년층의 건강 관리와 지원을 위한 기술 솔루션 등이 포함된다. (액센츄어(Accenture) 제휴)

전체 보고서 다운받기

미리보기 2회1회

MIT Technology Review 구독을 시작하시면 모든 기사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