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y I’m a proud solutionist

내가 자신 있게 ‘해결주의자’라고 말하는 이유

역사를 살펴보면 문제 상황을 냉철하게 인식하면서도 기술을 통한 문제 해결에도 낙관적인 태도를 취하는 법을 배울 수 있다.

기술과 진보에 대한 논쟁은 자주 ‘낙관론’과 ‘비관론’의 대립으로 귀결되곤 한다. 예를 들어, 스티븐 핑커(Steven Pinker), 매트 리들리(Matt Ridley), 요한 노르베리(Johan Norberg), 맥스 로저(Max Roser), 그리고 고(故) 한스 로슬링(Hans Rosling)은 지난 200년 동안 이루어낸 경제적, 과학적, 사회적 진보에 집중했다는 이유로 ‘신 낙관론자(New Optimist)’라고 불려왔다. 이들의 반대편에 서 있는 데이비드 런시먼(David Runciman)과 제이슨 히켈(Jason Hickel) 같은 인물들은 ‘신 낙관론자’들이 세상이 직면한 빈곤 같은 실질적인 문제와, 핵전쟁 같은 재앙이 발생할 위험을 깨닫지 못하고 있다며 비난한다.

경제사학자 로버트 고든(Robert Gordon)은 스스로를 ‘비관론의 선지자(the prophet of pessimism)’라고 칭한다. 그의 저서 <미국의 성장은 끝났는가(The Rise and Fall of American Growth)>를 통해 그는 미국이 높은 경제 성장을 누리던 시대는 끝났으며 다시는 돌아오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고든의 의견에 반대하는 이들은 ‘기술 낙관론자(techno-optimist)’로 불리는 앤드루 맥아피(Andrew McAfee)와 에릭 브린욜프슨(Erik Brynjolfsson)과 같은 인물들로, 이들은 정보 통신 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을 통해 생산성이 급증할 것으로 예측해왔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와 함께, 미래를 앞서가세요 !!
한달에 커피 2잔값으로 즐기기
온라인 멤버
지면 매거진 멤버
(온라인+지면) 프리미엄 멤버

유료회원 플랜 보기 회원이면 로그인하기 회원가입

회원 가입 후 유료 구독 신청을 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