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리우데자네이루가 빈민가 위한 디지털 지도를 만드는 이유
리우데자네이루의 호싱야(Rocinha)에서 길을 찾기란 쉽지 않다. 건물들이 도로명과 도로 번호와 같은 전통적인 식별 체계를 무시한 채로 조밀하고 어수선하게 늘어서 있기 때문이다. 호싱야는 파벨라(favela)라고 불리는 빈민가로, 19세기 이후 브라질 도시의 외곽에 생겨난 수백 개의 무허가 정착촌들 가운데 최대 규모다. 현재 브라질 인구의 5% 이상이 이 같은 공동체에 살고 있으며 호싱야에만 10만 명이 거주 중이다.
호싱야에서의 길 찾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러 창의적인 방안들이 등장했다. 예를 들어, ‘친절한 집배원(friendly mailman)’은 업체들이 소포를 중앙 배달 지점까지 운송하고 나머지는 미로처럼 복잡한 호싱야 거리를 찾아다닐 수 있을 만큼 이 지역 지리에 익숙한 거주민 배달원들이 맡도록 하는 프로그램이다.
공식적 원조나 행정적 지원이 거의 없으며 경제적 기회도 부족한 파벨라 주민들은 유해한 생활 환경과 빈번한 폭력 사건과 씨름하느라 고군분투해왔다. 사회적 분리라는 두꺼운 벽은 전기나 수도와 같은, 시에서 제공하는 필수 자원을 지역 내로 끌어오기 위해 구불구불하고 불확실한 경로를 거쳐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빈민가 주민의 평균 수명은 불과 48세로 브라질 전국 평균보다 20년이나 낮다.
전 세계 도시들의 고도 성장은 많은 성과를 이뤄냈지만 대다수 도시의 실제 발전 과정을 이해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 출생과 이주는 개발도상국에 집중되어 있고 중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신도시의 구조는 비공식적이다. 따라서 고층 건물보다 판자촌이 더 많다. 우리가 미래에 대해 상상하는 온갖 몽상에도 불구하고 앞으로의 도시는 아마도 호싱야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20세기에 브라질 정부는 파벨라를 철거하고 더욱 체계적인 공영 주택으로 대체해보려고 했지만 이런 재개발 시도는 정착촌의 증가를 초래한 대규모의 인구 이동을 따라잡을 수 없었다.
우리가 미래에 대해 다양한 모습으로 상상하고 있지만 불구하고 앞으로의 도시는 아마도 호싱야의 모습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다른 정부나 도시계획가들도 정착촌 형성을 막거나 형성 당시에 철거해보려고 노력했지만 이런 전략은 대부분 실패로 판명되었다. 현재, 전 세계 20억 명 이상이 빈민가에 살고 있는 것으로 추산된다.
2000년대 초반, 콜롬비아의 도시 메데인(Medellín)은 전 세계에 영감을 줄 도시 혁신 실험을 시작했다. 메데인시의 산 위에는 빈민촌들이 형성되어 있었고 시 당국은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이들 지역에도 공공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약속했다. 시작은 케이블카 노선을 구축하는 일이었다. 이로써 오랫동안 고립되어 있던 산 비탈의 빈민촌 상공 위로 케이블카 노선이 우뚝 솟아올랐다.
빈민촌을 철거하려던 활동은 지역사회를 통합하려는 노력으로 전환되었다. 콜롬비아 정부는 이들 빈민촌에 새로운 도서관과 공원을 지을 부지를 마련했다. 그 이후로 메데인 모델은 몇 가지 단점에도 불구하고 라틴 아메리카와 전 세계의 훌륭한 모범 사례가 되었다.
메데인시가 혁신적인 접근법을 취하기 시작한 지 20년이 지난 지금, 새로운 기술은 우리에게 훨씬 더 강력한 도구를 제공해주고 있다. 오늘날 리우데자네이루와 MIT감응화 도시 연구소(Senseable City Lab)는 처음으로 호싱야 전체의 디지털 지도를 만들기 위해 협력하고 있다.
우리 연구진은 3D 스캐너를 가지고 좁은 골목길과 경사진 언덕을 따라 이동하면서 1.5제곱킬로미터(약 45만평)에 달하는 이 지역 구석구석을 찍고 있다. 초당 약 30만 개의 데이터 포인트(data points)가 생성된다.
리우데자네이루 호싱야의 3D 스캔 데이터. FÁBIO DUARTE
호싱야 지역 전체를 스캔하는 데 드는 비용은 6만 달러(한화로 약 7,000만 원) 미만이 될 것이다. 이 비용은 지역 주민들에게 유용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수 있게 하면서 그 이상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고 믿는다. 정확한 호싱야 지도가 있다면 시 당국은 더욱 손쉽게 수도나 쓰레기 수거와 같은 공공 서비스 이용 기회를 제공하고, 골목길을 개선하고, 광장과 공공 장소를 조성할 수 있다.
이러한 스캔 데이터는 부동산 기록을 만드는 데도 활용할 수 있다. 이 기록들은 블록체인으로 관리하고 거래하여, 번잡한 수속 절차를 피하고 소유권 이전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3D 스캔을 이용하여 부동산 등록 시스템을 구축하면 데이터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될 수 있다는 점도 우리는 인정한다. 하지만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면 빈민가 주민들은 어느 공적인 부동산 등록 시스템보다 더 손쉽게 부동산을 사고 팔 수 있을 것이다.
파벨라의 물리적 배치에 대해 더 잘 알게 되면 생활 환경도 개선할 수 있다. 도시설계가들은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계단을 어디에 설치할지 또는 통풍 및 채광이 더 잘 되도록 어떤 구조물을 제거할지를 결정할 수 있다.
대부분의 도시가 ‘비공식’으로 생겨났다는 사실을 주지할 필요가 있다.
빈민가의 시급한 문제에 대한 장기적인 해결책은 분명, 애초에 정착촌 발생을 야기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모든 국가는 자국만의 과제가 있다. 브라질은 사회적 불평등을 줄여야 하고, 서유럽은 과거 식민지로부터의 이민 문제를 재고해야 하며, 세계 각국은 기후와 관련된 이주의 증가에 대비해야 한다.
앞으로 몇 년에 걸쳐 우리가 빈민가, 판자촌, 난민 수용소에 대처할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이곳 거주자들의 장기적 미래를 결정할 정치적, 문화적 태도를 규정할 것이다. 따라서 대부분의 도시가 비공식적으로 생겨났다는 사실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파리의 많은 지역은 오스만 남작(Baron Haussmann)의 대규모 도시 정비가 있기 전까지 이런 식이었다. 19세기 오스만 남작의 도시 재정비는 군부 독재자의 권력으로 가능한 일이었다. 50년 전 싱가포르는 여전히 판자촌의 도시였다. 한때 뉴욕은 미국의 어느 지역보다 불법 정착지가 많은 곳이었지만 젠트리피케이션의 물결로 그 누추한 역사가 잊혀졌다.
미래의 도시로 가는 길은 호싱야를 지나간다. 무시하든, 철거하든, 통합하든 간에 우리 세대의 이 결정은 앞으로 태어날 수십억 명의 운명을 좌우하는 데 크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파벨라 거주민들은 이미 도시의 비공식성을 다루는 데 있어 전문가다. 일부 주민들은 우리 연구진이3D 스캐너로 작업을 시작하기 훨씬 전부터 펜과 종이로 이 지역 지도를 만들고 있었다. 그들과 협력하면서 우리는 도시의 발생부터 도시를 형성해온 상향식 세력과 하향식 세력 사이에서 새로운 균형을 찾을 수 있었다.
Fábio Duarte와 Carlo Ratti는 MIT 감응화 도시 연구소의 연구원이다. Washington Fajardo는 리우데자네이루시의 도시계획과 사무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