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reator of the CRISPR babies has been released from a Chinese prison

‘유전자 편집 아기’ 만든 中 과학자 허젠쿠이 출소

지난 2018년 중국에서 ‘크리스퍼(CRISPR)’ 기술로 유전자를 편집한 아이가 탄생했다는 사실이 알려지며 해당 연구를 진행한 과학자 허젠쿠이가 큰 비난과 함께 징역형을 선고받았다. 실험의 대가로 자유를 잃었던 그가 3년 형을 마치고 출소했다.

세계 최초로 유전자를 편집한 아기를 탄생시켰다는 이유로 윤리적인 비난과 함께 징역형을 선고받았던 중국 과학자 허젠쿠이가 3년 형을 마치고 자유의 몸이 됐다.

허젠쿠이는 지난 2018년 자신이 유전자를 편집한 배아를 여성의 자궁에 이식해 쌍둥이 여자아기가 태어났다고 주장하면서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안겼다. 유전자를 편집한 세 번째 아이도 이듬해에 태어났다.

해당 실험으로 국제사회에서 크게 규탄을 받은 그는 중국에서 체포되어 수감됐다. 2019년 12월 그는 중국 법원에서 유죄 판결을 받았고 법원은 그가 “고의로 의료 규정을 위반”했으며 “보조생식술에 무모하게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적용”했다고 선고 이유를 밝혔다.

그의 석방은 그와 관련된 상황을 잘 알고 있는 사람들에 의해 확인됐으며 그는 4일 오전 휴대폰 연락을 통해 석방 사실을 밝혔다. 그는 전화를 끊기 전에 “지금은 통화하기 곤란하다”고 말했다.

중국 선전시 남방과학기술대에 있는 허젠쿠이의 연구팀은 다용도 유전체 편집 도구 ‘크리스퍼(CRISPR)’ 또는 유전자 가위 기술을 사용해 HIV에 면역력을 갖도록 쌍둥이의 DNA를 수정했다.

그가 중국이나 다른 국가에서 연구자로 다시 돌아올 계획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 그는 미국 라이스대학교와 스탠퍼드대학교에서 수학한 생물물리학자이며 그를 잘 아는 사람들은 그를 이상적이고 순진하며 야심 있는 인물로 묘사했다.

유전자 편집 아기 사건으로 그의 세계가 무너지기 전에 그는 자신이 ‘HIV 감염을 통제’할 새로운 방법을 찾았고 이 방법으로 노벨상까지 가능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가 참여한 이 ‘크리스퍼 아기 프로젝트’의 존재는 2018년 11월 홍콩에서 열린 인간 유전체 편집 국제 정상회의 전날 MIT 테크놀로지 리뷰에 의해 드러났다. 우리의 보도 직후 그는 유튜브 영상을 통해 ‘루루’와 ‘나나’라는 이름의 쌍둥이 탄생을 발표했다.

허젠쿠이의 연구는 중국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에서 강한 비난을 받았다. 과학자들은 유전자 편집 기술 사용이 의학적인 목적에 거의 도움이 되지 않았으며 아기들의 유전체에 문제를 일으킬 수도 있었다고 비난했다.

그의 연구 결과는 어떤 과학 저널에도 게재될 수 없었다. MIT 테크놀로지 리뷰는 나중에 그의 논문 초안 복사본을 입수했는데 한 전문가는 이 논문이 ‘지독한 과학적, 윤리적 잘못’으로 가득 차 있다고 평했다.

허젠쿠이는 재판을 기다리며 구금돼 있던 기간을 포함해 중국 감옥에서 3년이라는 시간을 보냈다. 그는 석방 이후 중국과 해외에 있는 과학자 동료들에게 연락을 취했다.

이 실험에 대한 책임은 그와 그의 중국 연구팀원들에게 있지만 다른 많은 과학자들은 이 프로젝트에 관해 알면서도 그의 실험을 격려했다. 그런 과학자로는 실험에 참여한 전직 라이스대학교 교수 마이클 딤(Michael Deem), 크리스퍼 기술의 상용화를 계획했던 뉴욕의 대형 난임 클리닉 원장 존 장(John Zhang) 등이 있다.

딤은 2020년에 라이스대학교를 떠났지만 대학 측은 그가 유전자 편집 아기 탄생에 관여했다는 것에 대한 어떤 조사 결과나 해명도 내놓지 않았다. 딤의 링크트인(LinkedIn) 프로필에는 현재 그가 시작한 에너지 컨설팅 회사에 관한 설명이 적혀있다.

호주 알프레드 디킨 연구소(Alfred Deakin Institute)의 부교수이자 유전자 편집 아기 실험에 참여한 과학자들과의 인터뷰를 비롯해 허젠쿠이의 연구에 관해 다룬 저서 <돌연변이 프로젝트(The Mutant Project)>를 집필한 에벤 커크시(Eben Kirksey)는 “허젠쿠이와 그의 동료 과학자 일부가 이 실험으로 인해 징역형을 살게 된 것은 보기 드문 일이다. 그러나 마이클 딤이나 존 장처럼 다른 국가에서 실험에 협력한 과학자들은 어떤 불이익도 받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커크시는 “많은 면에서 정의가 실현됐다고는 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아내와 자녀가 있는 허젠쿠이는 상당한 대가를 치렀다. 그는 대학교에서 해고됐고 고향 선전시에서 멀리 떨어진 감옥에 갇힌 채 시간을 보내야 했다.

허젠쿠이에 대한 처벌로 인해 특히 중국에서는 배아에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적용하는 실험이 조만간 추가적으로 진행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미국에서는 식품의약국(FDA)이 그런 연구를 승인할 수 없도록 금지하는 법안이 있어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유전자 편집 연구가 사실상 금지되어 있다.

이 실험의 결과로 태어난 세 아이(신원은 공개되지 않았다)에 대한 정의 문제도 있다. 실험에 동의했던 부부는 모두 남편 쪽이 HIV 보균자여서 중국 법에 따라 난임 시술을 받을 수 없는 사람들이었다.

2월에 네이처(Nature)의 뉴스 보도에 따르면 중국의 생명윤리학자 두 명이 중국 정부의 요청에 따라 크리스퍼 기술로 태어난 아이들의 건강을 확인하는 연구 프로그램 진행을 맡았다고 한다. 이들은 해당 아이들을 ‘취약 집단’으로 분류하고 아이들의 몸에 후손에게 물려줄 수 있는 유전적 오류가 있는지 확인하는 유전자 분석을 요청했다.

미리보기 2회1회

MIT Technology Review 구독을 시작하시면 모든 기사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