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llions of people rely on Facebook to get online. The outage left them stranded.

수백만 명 손발 묶은 페이스북 서비스 중단 사태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페이스북은 인터넷과 동의어로 통한다.

10월 4일 월요일 오후, 페이스북 메신저 서비스가 중단되기 직전 바이바 베잔은 매우 긴박하고 시급한 내용의 메시지를 페이스북 메신저를 통해 보냈다.

리투아니아 출신 사진 기자인 베잔은 탈레반의 아프간 점령 후 어려움에 처한 아프간 국민을 해외로 보내기 위해 자원봉사 단체가 시작한 여러 지원 사업 중 하나인 아프간지원그룹(Afghan Support Group)의 공동 책임자로 활동하고 있다. 이날 베잔이 보낸 메시지는 이들 단체가 마련한 아프간 출발 항공편에 한 명을 더 태울 자리가 있는지 문의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페이스북닷컴, 왓츠앱, 메신저, 인스타그램 등 페이스북의 모든 서비스가 갑자기 오전 11시 40분 경부터 먹통이 되었고, 베잔은 몇 시간 동안 아무런 답도 받을 수 없었다. 페이스북은 백본 라우터 변경으로 인해 서비스가 중단되었다고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이는 인터넷 트래픽을 제어하고 주소를 추적하는 DNS(Domain Name System)가 트래픽을 제대로 처리하지 못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페이스북 앱과 서비스는 결국 6시간이 지난 후에야 복구되었다.

서비스 중단의 상대적 피해

인터넷을 사용하는 많은 미국인들에게 페이스북 서비스 중단은 그리 심각한 일은 아니다. 그러나 페이스북을 통해 인터넷에 접속하는 전 세계 수백만 명의 사람들과 8월 중순 미군 철수로 이미 버림받았다고 느끼는 아프간 국민에게는 그렇지 않다. 이들에게 예상치 못한 페이스북 서비스 중단은 훨씬 더 심각한 문제로 다가왔다.

미국 비영리 단체 개방기술기금(Open Technology Fund, OTF)의 보안 담당 부총재 사라 아운은 전 세계 많은 지역에서 페이스북이 “인터넷과 동의어”라고 말했다. OTF는 비공개 브라우저 토르(Tor)와 암호화 메시지 서비스 시그널(Signal) 같은 기술 프로젝트를 지원한다. 따라서 페이스북 서비스 중단은 “대규모 인프라 붕괴”나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이번 사태는 페이스북 입장에서도 시기적으로 좋지 않은 시기에 벌어졌다. 서비스가 중단되기 불과 몇 시간 전인 일요일 미 방송사 CBS의 시사 프로그램 <60분>이 페이스북 내부고발자 프랜시스 하우겐(Frances Haugen)과의 인터뷰를 내보내 큰 파장을 일었던 것이다. 하우겐은 페이스북이 십대 소녀에게 미치는 유해성을 알면서도 모른 척했을 것임을 암시하는 문서를 공개하고, 그 밖에 다양한 내용을 폭로했다. 그는 지난 5일 상원에서 증언했다. 페이스북은 독점금지법 조사도 받는 처지다. 조사 결과에 따라 인스타그램, 왓츠앱을 매각해야 할 수도 있다.

페이스북이 만드는 인터넷

페이스북닷컴, 메신저, 인스타그램, 왓츠앱 등 페이스북이 제공하는 서비스와 앱을 사용하는 사용자 수는 전 세계적으로 35억 명이 넘는다. 사용자 수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인도로, 약 3억 4,000만 명이다. 반면 미국의 사용자 수는 약 2억 명이다.

사실 이는 페이스북이 의도한 결과다. 지난 몇 년 동안 페이스북은 개발도상국에서 인터넷 연결을 확대하기 위해 역량을 집중했다. 이는 자체 사용자 기반을 확대하기 위한 것이기도 했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은 위성, 드론, 전파연결(radio-linked) 무선 네트워크 사용을 추진하고, 인터넷 인프라의 물리적 개선을 위해 현지 통신사와 손을 잡았다.

페이스북은 사용자가 데이터 요금을 내지 않아도 페이스북과 일부 웹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점오알지(Internet.org) 서비스를 2013년에 출시했다. 이 서비스는 셀룰러 데이터 사용이 가능한 전 세계 인구의 85%(당시 기준)에게 인터넷 연결을 제공해 전 세계를 온라인으로 연결한다는 마크 저커버그 페이스북 CEO의 원대한 계획에 따라 추진되었다. 이 서비스는 이후 프리베이직스(Free Basics)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인도 통신규제 당국은 프리페이직스가 망 중립성을 훼손한다며 2016년 서비스 중단을 명령했다. 그러나 페이스북은 비록 요란한 런칭 행사는 생략했지만 다른 개발도상국으로 계속 사업을 확장했다. 페이스북에 따르면 2018년 기준 1억 명이 프리베이직스를 통해 인터넷을 사용했다. 프리베이직스는 2019년을 기준으로 전 세계 65개국에 출시되었으며, 그 중 약 30개가 아프리카에 있다. 작년에는 페이스북 디스커버(Facebook Discover)도 선보였다. 페이스북 디스커버를 이용하면 사용자가 데이터를 모두 소진한 후에도 낮은 대역폭으로 계속해서 페이스북 서비스뿐만 아니라 다른 인터넷 사이트도 이용할 수 있다.

이 서비스들은 아프가니스탄에서도 출시되었다. 인터넷을 처음 접하는 많은 아프간 국민은 페이스북, 페이스북 메신저, 왓츠앱을 인터넷 그 자체와 동일시한다. 광대역으로 인터넷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사용자에게도 페이스북 서비스는 중요하다. 예를 들어, 세계 곳곳에서 왓츠앱 전화가 요금은 비싸고 서비스 안정성은 낮은 기존의 일반 전화를 오래 전부터 대체하고 있다. 또, 전 세계의 많은 소기업이 제품 판매와 광고에 페이스북을 활용하고 있다.

누군가에게는 더 필요한 서비스

이런 상황은 자원봉사 단체(아프간 탈출 지원 단체 등)와 어려운 상황에 놓인 개인(탈레반의 보복이 두려워 숨어서 왓츠앱으로 연락을 기다리는 고립된 아프간 국민 등)에게 일시적인 서비스 중단조차 매우 큰 타격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루치 쿠마는 “그들은 이미 매우 지쳐 있고 불안에 떨고 있다. 서로 연락이 닿지 않고 믿을 수 있는 외부 조력자와의 연락이 끊기는 것은 매우 큰 타격”이라고 말했다. 쿠마는 이스탄불을 중심으로 활동하며 본지에 기고하는 인도 기자로, 아프간 국민의 국외 탈출을 돕고 있다. 그는 이어 이렇게 덧붙였다. “지난 달 죽음과 폭력을 목격한 많은 이들이 스스로 목숨을 끊을 가능성도 있다. 외부 세계와의 주요 연락 채널이 영문도 모른 채 끊어지면서 앞날은 더 불확실해지고 절망감과 버림받았다는 느낌이 더욱 강해졌다. 이들에게 탈출 기회가 사라진다는 것은 “말 그대로 사느냐 죽느냐의 문제이다.”

자정이 지나 페이스북 서비스가 정상으로 돌아왔지만, 검색과 알림 등의 기능은 그때까지도 복구되지 않았다. 그리고 베잔은 질문에 대한 답을 여전히 들을 수 없었다.

베잔은 아프간 동료들이 페이스북 서비스가 중단된 원인에 대해 성급한 결론을 내릴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 카불 함락 이후 몇 주 동안 탈레반이 인터넷을 차단했다는 소문이 돌았다. “친구들이 새 정부가 어떻게 언론을 차단하는지 소문을 내고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것 같다.”

이런 상황이 아프간에만 국한된 것은 아닌 것 같다. 정부가 주도하여 인터넷을 차단하는 것으로 악명이 높은 콩고민주공화국에서도 이와 비슷한 우려가 제기되었다. 그러자 통신부 대변인이 당일 오후 4시 5분에 “인터넷 연결이 끊어지지 않았다”는 메시지를 트위터에 올리며 진화에 나섰다. “왓츠앱,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서비스가 전 세계적으로 중단되었다. 그러나 트위터 등의 앱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으며, 다른 인터넷 사이트들도 마찬가지다.”

미리보기 2회1회

MIT Technology Review 구독을 시작하시면 모든 기사를 제한 없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